더불어민주당에서 2030세대 표심을 잡기 위한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이남자'(20대 남자)를 달래려는 군 복무 관련 대책부터 2030세대 상당수가 몰두하는 가상화폐 투자 이익에 대한 과세 유예, 연금 및 임금체계 개혁까지 분야가 다양하다. 4·7 재·보궐 선거 결과에 따른 지지층 확장 시도이지만, 일부 집단의 분노에 편승하는 포퓰리즘으로 흐를 여지도 있다.
2030세대와 관련해 가장 많이 언급되는 건 여전히 '이남자'다. '군 복무 형평성' 문제가 가장 논의가 활발하다. 김병기 의원은 26일 군 복무자를 국가유공자로 예우하는 법률안을 발의할 예정이라며 "군대 간 것 벼슬 맞다"고 페이스북에 써서 논란을 불렀다. 문진석 의원은 19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에게 "장병들에게 적절한 급여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이남자의 분노에만 호소하는 자극적인 메시지들도 여과없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전용기 의원은 1999년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로 위헌 결정을 내린 군 가산점제를 부활시켜야 한다며 개헌까지 주장했다. 김남국 의원은 25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여성가족부가 여성 중심적 정책만 펼치다 보니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여가부를 '청년가족부'로 재편할 것을 요구했다.
부동산 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2030세대에겐 가상화폐가 사실상 유일한 자산 증식 수단으로 떠올랐다. 이에 민주당에선 가상화폐를 인정하지 않는 정부의 태도를 꼬집는 목소리가 연일 나온다. 가상화폐 당내 전담기구 발족도 논의 중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가상화폐 거래 실현 이익에 세금을 물리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양향자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자산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과세를 하겠다는 건 모순"이라며 과세 유예를 주장했다. 박용진 의원도 "이런 황당한 상황이 어디 있냐"고 했다.
2030세대의 분노에 귀 기울이는 시도 자체는 의미있지만, 가상화폐 시장의 투기 과열을 당과 정부가 방조한다는 '역풍'이 불 수도 있다.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당내에서도 나온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가상화폐는 아무리 봐도 화폐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며 "가상화폐 시장의 안정성을 비롯해 정부가 고민하는 부분에 대해서 신중하게 잘 들여다봐야 한다"고 했다.
임금체계 개혁과 연금개혁 등 '거대 담론'도 2030세대와 결부돼서 오르내린다. 민주당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한 강병원 의원은 "청년들에게 희망을 제시하고 공정 사회를 만들자"며 △호봉제 임금체계를 직무와 능력 중심으로 개편 △미래 세대에만 부담을 전가하지 않는 연금개혁 △모병제 전환 △공공임대 공급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다만 임금체계 개편은 당사자가 사실상 전 계층과 세대에 걸쳐있다 보니, 청년 세대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실효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