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7월 도쿄 하계올림픽 불참 결정을 공표한 지 일주일이 지난 시점까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공식 절차를 밟지 않고 있다. 막판까지 올림픽 참가 여부의 손익을 따져가며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밀당(밀고 당기기)’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IOC 대변인은 15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북한 국가올림픽위원회(NOC)로부터 올림픽경기 참가 의무를 면제해 달라는 어떠한 공식적인 신청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올림픽 헌장에 따르면 각국 올림픽 위원회는 자국 선수를 파견해 올림픽에 참가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북한은 지난 6일 체육성 홈페이지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의한 세계적 보건위기 상황으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북한으로부터 불참 의사를 확인 받았다고 알렸다. 이를 두고 올림픽에는 참가 여지를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IOC도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독려하는 데 적극적이다. IOC 대변인은 "(불참 사유인) 코로나19 상황을 논의하려 했지만 불행히도 북한 NOC는 전화회의를 열 수 있는 입장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다만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김일국 북한 체육상 겸 북한 올림픽위원장과 직접 통화 일정을 잡았다는 보도에 대해선 확인하지 않았다.
현재로선 북한이 참가 쪽으로 급선회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불참 사유로 내세운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한 탓이다. 불참 선언이 한미일을 의식한 정세용 카드라고 하더라도 이를 거둬들일 명분이 마땅찮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 북한에 선제적 화해 메시지나 유화책을 제시한다면 북한이 못 이기는 척 불참 결정을 번복할 수 있겠지만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와 미국 대북정책의 윤곽을 확인한 뒤 불참 선언을 행동에 옮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쿄올림픽을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계기로 삼으려 했던 정부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남북이 도쿄올림픽 등 각종 국제경기에 공동 진출을 적극 모색한다'는 것은 9·19 평양공동선언에 명시된 남북 정상 간 합의사항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IOC가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독려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런 노력이 충실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유관기관 협의를 통해 필요한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