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대만 TSMC 등이 참석하는 1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반도체 회의에 조 바이든 대통령도 자리를 함께 할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화상회의를 주재한다고 발표됐으나 회의 중요성을 감안해 바이든 대통령도 합류하는 것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11일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12일 화상회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반도체와 공급망 복원에 관한 최고경영자(CEO) 서밋에 참석한다. 백악관은 “회의에서는 ‘미국 일자리 계획’과 반도체 및 다른 핵심 영역의 미국 공급망 복원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 외에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지나 러만도 상무장관도 참석한다고 백악관은 덧붙였다.
앞서 백악관은 9일 한국의 삼성전자, 대만의 TSMC를 비롯해 19개 글로벌 기업이 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 델 테크놀로지, HP, 인텔 등 정보통신(IT) 대표 기업은 물론 포드, GM 등 자동차 회사도 참석 대상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 기업이고, TSMC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 세계 1위다.
최근 전 세계에서 반도체 칩 부족 사태로 자동차와 가전 생산 등에 차질을 빚자 반도체 확보가 안보 핵심 이슈가 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대 핵심 전략품목의 공급망 재점검 행정명령을 내리는 등 반도체 확보 전쟁에 사활을 걸고 있다.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타격을 줄이기 위해 미국 내 생산 증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급망 취약점을 개선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특히 반도체 품귀 사태 속에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까지 이어지면서 미국은 주요 동맹 국가들을 ‘반도체 동맹’으로 끌어들이는 상황이다. 미 상무부는 8일 중국의 반도체 칩 설계회사인 텐진 파이시움 정보기술 등 7곳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기술 수출을 막는 등 실제 행동에 나선 상태다.
중국과 각을 세우는 대만의 기업인 TSMC와 함께 삼성전자가 이번 회의에 초청된 것도 상징적이다. 삼성전자는 미국에 추가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문제를 협의 중이다. 다만 미중 기술 갈등이 격해질수록 삼성전자도 유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점이 우려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