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안보실장 회의를 하루 앞두고 미국이 새로운 대북정책 수립ㆍ이행 과정에서의 3국 공조를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선 반도체 공급망과 남중국해 문제도 다루겠다고 밝혀, 중국 대응 이슈 역시 비중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1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이튿날 열리는 회의가 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한미일 3국의 고위급이 처음으로 한 곳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기타무라 시게루(北村滋) 일본 국가안보국장은 2일 워싱턴에서 3자 협의에 나선다. 이번 협의는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정책 수립 과정에 핵심 동맹인 양국의 의견을 청취하고 조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당국자는 이번 회의 때 △핵 비확산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북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북중 외교 관계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요 목표는 대북 문제에 관한 공동의 이해를 심화하는 것”이라며 3국의 공조와 조화를 강조했다.
또 미국이 그간 진행한 대북 정책 검토 내용을 양국에 알리고 논의하는 자리지만, 한일 의견도 청취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는 매우 열려 있고 피드백을 들을 준비가 돼 있다”며 “일방통행식 대화가 아닐 것이다. 나는 우리가 의견과 제안을 듣는 대화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가 대북정책 제시 전 마지막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도 “일종의 최종 회의라고 보지 않는다. 비핵화와 긴장 완화를 위한 끝이 아니라 협력을 위한 반복되는 과정의 일부”라고 답했다.
반도체 공급망과 남중국해 문제도 의제에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을 겨냥한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하겠다는 뜻이다. 반도체는 미국이 중국과 기술경쟁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품목이고, 남중국해는 인도태평양에서 중국의 팽창과 영향력 확대를 저지하기 위한 각축전을 벌이는 핵심지역이다. 이 당국자는 “세 나라는 반도체 제조 기술의 미래에 많은 키를 쥐고 있다”고 한 뒤 “우리는 이 민감한 공급망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