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수술 후 추가 상처 없이 배액관 설치

입력
2021.03.08 12:41
비침습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  특허 출원
오상하·김주학 교수·신영하 연구원 공동 개발


충남대병원과 세종충남대병원 의료진과 KAIST 연구원이 공기압을 이용해 피부 고정을 위한 추가 상처 없이 배액관을 설치하는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8일 충남대병원에 따르면 성형외과 오상하 교수와 세종충남대병원 성형외과 김주학 교수, KAIST 신영하 연구원은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을 공동 개발해 특허 출원을 했다.

배액관은 수술 후 체내 수술 부위, 체내 조직에 조직에 고여 염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혈액이나 장액, 농양 등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해 삽입한다. 말단 일부는 신체 내에 삽입하고, 일부는 외부에 노출돼 체내에서 발생하는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배액관이 체외로 뽑히거나 체내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피부에 고정해야 한다. 현재 봉합사를 이용해 피부에 묶어두는 방법, 피부용 스테이플러로 고정하는 방법, 점착성 부재로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하짐나 봉합사로 피부에 고정하는 방법은 시술이 번거롭고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정강도 등의 차이가 발생한다. 배액관 유지 과정에서 환자 움직임이나 장치 자체의 흔들림으로 피부 고정부위가 자극돼 짓무름, 염증, 피부 당김, 추가 상처, 흉터 등의 부작용이 생긴다.

피부 스테이플러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배액관 결합을 위한 별도 고정 장치가 필요하고, 피부에 추가 상처와 흉터가 남는다. 점착성 부재는 추가 상처가 없지만 부착력이 떨어지면 고정장치로서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김 교수 등이 공동개발한 배액관은 삽입을 위한 최소한의 구멍만 뜷어 시술하고, 별도 고정으로 인한 추가 상처가 생기지 않는다. 공기를 주입해 배액관을 체내에 밀착 고정시켜 팽창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배액관이 밀려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다. 배액관은 피부와 접하는 부위에 고정용 베이스와 클립 장치를 통해 체내외 체외에서 서로 반대로 빠져나오거나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양방향 구조로 설계됐다. 체내외 체외에 한 개씩의 새로 고안된 장치가 배액관과 흉관이 거치되는 피하조직을 감싸 움직이지 않게 한다.

피하조직 두께와 상관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팽창의 시작점과 길이도 조절할 수 있다.

오 교수 등은 "향후 외과적 수술 후 체내에 삽입하는 저류 방지를 위한 배액관, 기흉이나 혈흉 치료를 위해 흉강 내에 삽입하는 흉관, 심장내과 영역에서 심근경색 치료 시 관상동맥 확장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최두선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