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만에 고꾸라진 생산… 반면 소비는 1.6% 늘었다

입력
2021.03.02 14:10
18면
'집콕' 이어지며 가전제품 수요 늘어난 영향
경기선행지수 8개월 연속 상승


1월 산업생산이 8개월 만에 감소했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생산은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던 지난해 12월의 기저효과로 다소 주춤했고, 서비스업 생산 감소세도 이어졌다. 다만 소비 지표는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월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산업생산이 뒷걸음질 친 것은 지난해 5월(-1.5%) 이후 8개월 만이다.

상승세를 이어오던 광공업 생산(제조업 포함)이 1.6% 줄어든 영향이 크다. 광공업 생산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10월(-0.5%) 이후 3개월 만인데, 지난해 12월(2.7%)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1월과 비교해서는 7.5% 늘었다.

TV용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자부품 생산이 9.4% 줄었고, 선박·항공기 관련 ‘기타 운송장비’ 품목도 12.4% 줄었다. 반도체(0.3%) 역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지난해 12월(11.6%)과 비교해서는 둔화됐다.

서비스업 생산은 0.2% 줄었지만, 지난해 12월(-1.1%)에 비하면 감소폭은 다소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이 줄어든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영업제한 영향이 있는 예술·스포츠·여가업종(-15.4%) 등의 위축 때문이다.

소매판매액은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도 1.6% 증가했다. 지난해 12월(0.1%)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다. 지난해 8월(3.0%)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가전제품 같은 내구재 판매가 4.8%,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1.0% 각각 늘었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실내 생활이 늘어나면서, 가전제품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6.2% 증가하면서 지난해 11월(2.7%), 12월(1.9%)에 이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수입이 늘어나는 등 기계류 투자가 11.2% 증가한 영향이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건설기성)은 6.0% 줄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한 99.5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상승세가 멈췄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째 기준선(100) 아래에 머물러 있다.

반면 향후 경기를 내다보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한 102.7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지난 2009년 2월~2010년 1월(12개월 연속) 이후 가장 오랜 기간 상승세다.

세종 = 박세인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