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르면 내년 2,3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관심은 누가 언제부터 어떻게 맞는 것인지, 또 혹시 모를 부작용은 없는지에 쏠린다. 이 궁금증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확보한 코로나19 백신의 양은 충분한가?
=글로벌 백신 공동구매 기구인 '코박스 퍼실리티'를 통해 1,000만명분을, 글로벌 백신기업 4개사를 통해 3,400만명분을 확보했다. 총 4,400만명분으로, 이는 기존에 정부가 확보하겠다고 발표했던 3,000만명분보다 1,400만명분 늘어난 양이다. 정부는 앞서 국민의 60%가 백신을 접종할 경우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이에 필요한 3,0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400만명분 백신은 각기 어느 나라 회사 제품인가.
=아스트라제네카 2,000만회분, 화이자 2,000만회분, 모더나 2,000만회분, 존슨앤드존슨 400만회분이다. 존슨앤드존슨을 제외한 3개 제약회사 제품은 1인당 2회씩 접종해야 해서 2,000만회분이 곧 1,000만인분이다.
-구매 '계약'이 아니라 구매 '약정'이라는데.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선구매 계약 체결이 완료됐다. 내년 1분기인 2, 3월쯤부터 단계적으로 국내에 백신이 공급될 예정이다. 화이자, 존슨앤드존슨과는 '구매약정'을, 모더나와는 '공급확약'을 맺은 상태다. 하지만 구매약정, 공급확약 모두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구매약관으로, 이제 계약서 내용을 검토하고 서명하는 단계만 남았다고 보면 된다.
-내년 2, 3월 들여오면 바로 접종 가능한가.
=그렇지는 않다. 백신 개발은 여전히 진행중에 있고,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우려가 일부 있다. 국내외 코로나19 상황, 다른 나라들의 접종동향, 부작용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탄력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국내 접종 우선순위는 어떻게 되나.
=노인이나 집단시설 거주자,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의료기관 종사자, 요양시설·재가복지시설 종사자, 경찰·소방공무원, 군인 같은 사회필수서비스인력 등 3,600만명이 우선 접종 권장 대상이다. 소아·청소년 접종도 임상시험 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접종대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일반 국민들은 그 다음 문제다.
-접종 대상자가 자신이 맞을 백신 종류를 선택할 수 있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백신 종류별로 물량이 한정돼 있고, 이 물량이 동시다발적으로 공급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우선 접종 대상자가 접종을 거부하면 어떻게 하나.
=우선 접종 대상자라 해도 접종 자체는 본인의 동의 아래 이뤄지는 걸 원칙으로 한다. 인플루엔자(독감) 백신도 강제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 다만 그 가운데 꼭 접종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정부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해 가급적 접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접종 뒤 부작용이 있으면 제약사들이 책임 지나.
=아니다. '선구매'는 개념 자체가 백신개발의 실패 위험을 구매하는 쪽이 떠안는 구조다. 백신을 공급한 제약회사가 백신에 명백하게 다른 성분을 넣어 부작용을 유발한 게 아니라면 제약회사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 다만 우리 감염병예방법에는 예방접종 부작용에 대한 피해보상 제도가 있는데 코로나19 백신에 대해서도 이와 비슷한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선구매 계약을 맺었는데, 제약사가 나중에 최종적으로 백신개발에 실패했다 할 때는 어떻게 하나.
=앞서 말했듯 선구매는 실패에 대한 위험을 안고 맺는 계약이다. 선구매 계약을 한 제약회사가 백신 개발에 실패하면 돈도 못 돌려받는다. 정부가 기존계획보다 더 많은 양의 백신을 확보하려 했던 것도 그 실패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접종시 가격은 어떻게 되나.
=국가필수접종대상자는 무료 접종을 하는 방향으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필수접종대상자가 아닌 사람들은 추후 협의를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