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요양병원의 집단감염을 막기위해 종사자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했지만 감염 확산의 고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서울의 한 요양원에선 정부의 진단 검사 2주 후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 종사자 전수 검사의 한계가 드러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 요양병원 종사자들에 대해 2주마다 진단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소재 금호노인요양원에서 이날 기준 총 2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 요양원에선 지난 6일 요양보호사가 처음 확진을 받은 후 코호트 격리(동일집단 격리)에 들어갔고, 10일 환자와 종사자 14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경기 오산의 오산메디컬재활요양병원 역시 이날 환자 2명이 추가 확진돼 총 33명이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결과 이들 요양병원과 요양원은 침대 간격이 1m 이내로 매우 좁고 환자들이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 또 병원 직원, 요양보호사들과 환자들의 신체 접촉이 잦아 감염에 매우 취약했다. 노인들이 집단으로 생활하는 또 다른 시설인 경기 안양의 어르신세상주간보호센터에서도 총 3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코로나19 고위험군인 노인들이 생활하는 시설에서의 집단감염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 시설들이 정부가 집단감염을 막기위해 종사자 전수조사를 벌이던 곳이라는 점이다. 요양병원 집단감염이 잇따르자 중대본은 지난달 19일부터 수도권의 요양병원, 정신병원, 노인주간보호센터 종사자 16만명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다.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해 집단감염을 막겠다는 취지였다.
이 전수 검사를 통해 7개 시설에서 48명의 확진자를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검사 당시의 감염 여부만 파악할 뿐 집단 감염을 막는 데는 한계가 분명했다. 성동구 금호노인요양원 종사자들은 지난달 21~23일 검사를 받았지만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이달 6일 다른 지역의 확진자와 접촉했던 요양보호사가 확진됐고, 요양원 내에서 이미 바이러스가 확산됐음이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진단 검사는 검사 당시의 확진 여부만 확인할 뿐 감염을 차단하는 근본적인 대책은 아닌만큼 종사자 감염 예방 교육, 감염 시설 구축 등 병원들이 근본적인 감염 예방 체계를 갖추도록해야 한다고 지적해왔다.
요양병원 등의 집단감염이 계속되자 정부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주야간 보호센터, 정신병원과 정신요양시설에 대한 진단검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수도권은 이달 10일부터 연말까지 2주마다 주기적으로 종사자와 이용자에 대한 선제검사를 실시한다”며 “비수도권도 20일까지 일제검사를 추진하고, 4주마다 검사를 실시해 이런 시설에서의 감염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국 요양병원과 시설, 정신병원 등 취약시설에 대해 2주 동안 방역실태를 전수 현장점검했다”며 “점검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는 확산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146명 늘었다. 신규 확진자 중 113명은 국내에서 발생했는데, 서울에서 39명 경기에서 42명 발생해 수도권에 집중됐다. 또 전날 강원 원주와 전남 순천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해 천안, 아산과 함께 총 4개 지자체가 1.5단계로 상향된 상태다. 이에 따라 전국적인 거리두기 격상(현재 1단계)의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날 기준 지난 1주간 국내 하루 평균 확진자 발생 규모는 99.7명에 달했다. 손영래 반장은 "지금과 같은 증가 추세가 계속된다면 거리두기 단계 조정기준을 2~3주내 충족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셀트리온이 수일 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소멸시키는 치료제를 연내 선보인다는 보도가 나온 것에 대해 "아직 임상, 3상 시험의 초기 단계로 효과성에 대해선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파악할 수 있는 만큼 평가하기는 이르다"라며 "일정상 빠르면 연내 정도에 허가까지 갈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