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력이 줄어들수록 비알코올 지방간과 간섬유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내분비대사내과 구보경 교수팀은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만3,050명(평균 연령 45.6세)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들의 신체 근력과 간 질환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해외 노인 의학 학술지인 ‘근감소증과 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에 실렸다.
연구팀은 대상자의 악력 수치를 체질량지수(BMI)로 나눈 값을 근력 수치로 활용했으며, 지방간 지수와 간 섬유화 바이오마커(BARD, FIB-4) 수치를 통해 대상자의 비알코올 지방간 및 간 섬유화의 유병률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 근력 감소가 비알코올 지방간 발생 및 간섬유화 진행 위험을 유의하게 늘렸다.
근력 강도에 따라 대상자를 네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 비알코올 지방간의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근력 최상위 그룹의 유병률은 7.5%에 그쳤지만 최하위 그룹의 유병률은 45%로 6배가량 많았다.
간섬유화 분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간섬유화 진행도는 BARD 분석을 진행했을 때 근력 최상위 그룹에 비해 최하위 그룹에서 2배 이상 높았으며(29.7% VS 63.9%), FIB-4 분석에서는 두 그룹 사이에 7배나 차이가 났다(2.6% VS 18.0%).
또한 혼란 변수를 통제한 다변량 분석 결과, 근력 감소에 따른 비알코올 지방간 발생 위험은 최대 1.6배, 간섬유화 진행 위험은 최대 1.35배까지 올라갔다.
김원 교수는 “이번 연구로 노화 등으로 인한 근력 저하가 비알코올 지방간 및 간섬유화 발생 위험을 높일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체내 포도당을 소모하는 주요 기관인 근육 감소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악화가 간 질환 발생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 교수는 “신체 근력이 크게 줄어드는 노년기에는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함으로써 근력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간 건강 유지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