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관 자리 33개 민간에 개방? ... 뚜껑 열어보니 '딱 한 자리'

입력
2020.10.12 04:30
14면
투명한 내부 통제 취지 퇴색


정부가 보다 투명한 내부통제를 위해 민간에 개방한 중앙행정부처의 개방형 직위 감사관 자리 33곳 중 단 1곳만 외부 민간인 출신이 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 공개, 투명 등 갖은 수사로 정책을 홍보했지만, 구호에 그쳤다는 이야기다.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개방형 직위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중앙행정기관의 감사관 자리 33곳 중 30명이 충원됐으나 이 가운데 민간인 출신 감사관은 단 1명(고용노동부)에 불과했다.

‘공공감사에관한법률(공감법)’은 자체감사기구를 두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감사기구의 장을 개방형 직위로 임용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감사관은 감사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로, 개방형 직위로 충원된 사람의 경우 고위공무원(나등급, 국장급) 대우를 해준다는 게 인사처와 의원실의 설명이다. 정부가 보다 투명한 업무와 내부 통제를 위해 능력 있는 민간 전문가에게도 문호를 열고 그만큼 예우를 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무원들이 거의 대부분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취지가 퇴색하게 된 셈이다. 나머지 29명은 자 부처 출신 감사관이 14명, 나머지 15명은 타 부처 출신이었다. 자 부처 출신 인사를 감사관 자리에 앉힌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세청, 국방부, 국세청,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방위사업청,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공정거래위원회, 농촌진흥청, 원자력안전위원회, 조달청이었다.

중앙부처 전체를 통틀어 봐도 감사관 자리는 민간인 출신에 특히 더 인색했다. 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전체 고위공무원 자리(177개) 중 민간인 출신은 38.9%(69명)였고, 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과장급 직위(281개) 역시 민간인 출신은 45.9%(129명)로 50%에 육박했다.

김영배 의원은 “공공기관의 내부통제제도 내실화를 위해 감사기구의 장을 개방형 직위로 모집하는 제도가 오히려 공무원 조직 내부 승진이나 재취업 통로가 되지 않도록 인사혁신처의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민식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