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지난 1960년대, 태평양 전쟁 후 경제 성당을 이어가던 일본은 수입차의 본격적인 수입을 앞두고 일본 내 여러 브랜드들을 통폐합하려 했었던 적이 있던 것이다.
바로 통산성이 마련한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이 그 주인공이었다. 해당 정책은 혼다와 마쯔다 같은 일부 군소 자동차 기업들을 거대한 기업에 통합 시키는 것으로 골자로 했다.
이는 기업들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의 선택이 아닌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였고 당사자인 기업들은 부정적인 견해를 제시, 결국 수 년의 시간을 끌며 지지부진 했던 프로젝트는 각 브랜드들의 저항 끝에 폐기되었다.
만약 당시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이 온전히 시행되었다면 어땠을까?
역사나 어떠한 평가에 있어 '만약'이라는 것은 없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일본 내에서도 당초 계획했던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이 시행되었다면 과거 신군부 시절 진행된 같은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성장 가능성과 다양성을 제한 당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과 같이 숱한 악영향을 낳았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이 진행되었을 때에는 마쯔다, 혼다 등과 같은 '독특하지만 규모가 작은' 브랜드가 사라지고,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브랜드만 생존할 것이기 때문에 시장이 요구하는 다양성, 혹은 기술 개발을 통한 시장의 성장 등이 둔화되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일본에서는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의 다시 한번 추진될 뻔 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며 업계 관계자들을 당혹하게 만들었다.
파이낸셜 타임즈 일본판은 최근 보도를 통해 ‘지난해 아베 총리의 측근들을 필두로 일본 정부 측에서 닛산과 혼다의 합병을 추진했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제2의 자동차산업 합리화 정책’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정부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이 급격하게 상실 중’이라고 판단, 이에 따라 닛산과 혼다를 합병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결정을 내리고 이를 실행하려 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일본 정부의 이러한 주장과 의견 제시는 1960년대와 같이 정부의 일방적인 의견 제시였다고 알려졌다. 실제 합병 프로젝트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던 닛산과 혼다 측에서는 일본 정부의 합병안에 대해 즉각적인 거부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두 브랜드 모두가 합병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시한 것은 무척 당연한 결과였다.
애초에 두 브랜드는 합병을 택하기에 쉬운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혼다의 경우, 경쟁력 확보에 대한 고민은 있었으나, 닛산과의 합병 자체에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고 닛산의 경우에는 르노와의 얼라이언스 관계 상 추진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두 회사가 합병될 경우 이후 추진되어야 할 구조조정과 생산 설비 및 차량 관련 통합 및 효율성 개선 작업 등에 대한 청사진 조차 제시되지 않았을 뿐 더러, 만약 합병이 진행될 때의 기대 효과도 명확하지 않아 ‘일본 정부의 과욕’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혼다의 경우에는 자동차 외에도 이륜차 부분과 개인용 제트 비행기와 잔디깎이, 보트용 모터 제작 등 다양한 사업 부분을 보유하고 있기 떄문에 ‘닛산과의 합병 형태’ 조차 정의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덧붙여 자율주행 기술 분야에서도 행보가 명확히 다르며 향후 브랜드 전략이나 방향성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합병의 과정'이 순탄치 않다. 실제 닛산과 혼다는 자율주행 분야에서 각각 닛산은 웨이모와 파트너십을 맺고, 혼다는 GM 의 크루즈 자율주행차에 투자했다는 점이 서로 많이 다르다.
코로나 19로 인해 2019년의 ‘닛산-혼다 합병’ 프로젝트은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이며, 두 브랜드 역시 이에 배해 부정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합병 프로젝트가 다시 가시화 될 가능성은 낮은 상태다.
다만 이번 사태로 인해 일본 정부의 기업 성장 및 관리 등에 있어 그 수준이 아직도 1960년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이번과 같은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가 일본의 경제 구조 상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큰 과제일 것이다.
일본은 80년대 이후 둔화된 경제 성장을 개선하기 위해 아베 신지 총리 취임 이후 일본 은행이 각 기업들의 지분을 과도한 수준으로 구매하는 등 변칙적인 행보로 ‘아베노믹스’을 이끌어왔고, 정부가 기업의 경영 및 사업 활동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도 높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민국과의 경제 관련 갈등과 국제 사회에서의 악수를 두고 있는 일본 정부가 자국 자동차 산업에 대해 어떤 행보를 이어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