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은 안 하시는게 좋아요. 주식시장에 올라타고 싶으면 직접 투자를 하지 왜 변액보험에 가입합니까.”
한 보험설계사에게 “요즘 변액보험에 가입하면 어떻겠냐”고 물었더니 ‘서늘한’ 답변이 돌아왔다. 그래도 엄연한 보험사 판매상품인데 너무 야박한 것 아닌가 싶어 다시 물었더니 “고객과 얼굴 붉히고 싶지 않아 변액은 안 팔기로 했다”고 그는 말했다.
가입하는 고객의 기대와 실제 상품 내용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판매를 포기해버렸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됐을까.
변액보험이란 납부한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ㆍ채권 등 펀드에 넣어 운용하고, 그 수익을 수령 보험금에 반영하는 상품을 가리킨다. 펀드 수익이 주로 주식시장에서 결정된다는 이미지가 있어 주식이 상승세를 보이면 변액보험 가입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통계로도 증명된다. 보험연구원 동향분석실의 지난 6월 보고서에 따르면, 변액저축성보험의 초회보험료(가입 후 처음 내는 보험료) 실적은 주가 등락에 따라 움직인다. 2018년에는 주가가 하락해 변액보험 가입이 줄었지만, 2019년에는 증시 회복 기대감으로 가입이 늘었다.
올해는 ‘코로나 충격’ 이후 증시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보험업계에선 변액보험 가입이 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생명보험협회는 올해 변액보험의 초회보험료가 2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엄밀히 말하면 제대로 된 보험 가입 결정이 아니다. 앞서 "변액을 팔지 않겠다"고 말한 설계사는 “보험은 기본적으로 장기 상품인데, 고객들은 단기 증시 흐름만 보고 변액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분들은 결국 대개는 1~2년 안에 보험을 해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지환급금은 아무리 펀드 수익률이 높아도 원금에 못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설계사가 변액을 안 팔겠다고 한 이유는, 변액보험이 나쁜 상품이어서가 아니라 상품 특성에 대한 고객과의 인식 차이가 크기 때문이었다.
변액보험은 비록 펀드와 연동돼 있기는 하지만 근본은 보험이다. 당연히 보험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급되는 보험금의 재원이 되는 ‘위험보험료’가 매달 빠져나간다. 그리고 회사가 보험계약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비로 지출되는 ‘사업비’도 빠져나가는데, 사업비는 특히 가입 초기에 집중적으로 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납부한 보험료에서 위험보험료와 사업비를 차감하고 난 재원 중 일부가 펀드로 들어간다. 하지만 고객은 납부보험료 전부를 펀드로 굴려서 수익률이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짜 상품에 가입해 손해를 봤다”고도 생각하게 된다.
변액보험은 길게 가입할 수 있다면 오히려 다른 보험상품보다 더 많은 보험금을 수령할 여지도 있고, 주식시장 특유의 변동성도 방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10년 이상 가입하면 사업비가 펀드 등 여타 금융상품보다 적기 때문에 수익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과거 각종 불완전판매 민원이 많았던 대표적인 상품이 변액보험이어서, 최근 상품은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헬스케어 서비스 등 보험 특유의 각종 부가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가입으로 끝나서는 변액보험으로 재미를 보기 어렵다. 업계에선 변액보험 가입자가 주기적으로 펀드 관리를 할 것을 권한다. 변액보험은 국내외 주식과 채권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는 펀드 중 몇 가지를 선택해 투자할 수 있으며 통상 1년 등 일정 주기로 펀드 선택에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가입자도 어느 정도는 금융시장 동향을 지켜보고 펀드 투자 비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각 보험사의 ‘펀드주치의’ 도움을 받거나 만약 관리가 어려울 경우 전문가에게 자산운용을 일임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