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ㆍ폭설ㆍ지진 등 자연재해 규모를 예측하고 피해가 예상되면 주민들에게 미리 알리는 서비스가 실시된다.
행정안전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체계 구축사업'을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급경사지 및 저수지 등에서 인명 피해가 이어져 사전 예보로 피해를 최소하려는 조처다. 이 사업은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지역을 침수 예상지역 등으로 분류해 해당 지역에 디지털 계측 장비와 재난 상황 전파 시스템 등을 설치하는 게 골자다. 기후 위기로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가 늘어나고, 지형 등에 따라 재해를 감당할 수 있는 기준이 다른 점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맞춘 관찰 장비로 재해 상황을 모니터링하겠다는 것이다. 조기경보 시스템으로 재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위험징후가 나타나면 조기경보 체계를 가동해 주민들이 미리 대피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
행안부는 예산 288억원을 들여 올 연말까지 재해위험지역 170곳에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내년 초부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마을 방송 등으로 재해위험 경보를 받을 수 있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자연재해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자연재해 발생 시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약 2,500곳이다. 행안부는 조기경보 시스템 지원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