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규모로 유행했던 대구에서 병원별 사망률이 2배 가량 차이가 났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또 고도 비만과 만성질환을 앓는 환자가 신종 코로나에 감염될 경우,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중증 이상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중환자를 줄이는 것이 현재 방역의 핵심인 상황에서 참고해야 할 분석결과다.
22일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구에서 신종 코로나 중환자 진료와 치료를 맡았던 7개 병원의 28일 간 사망률 격차는 최대 2배 이상이었다. 이는 2월 18일부터 4월 5일까지 대구에서 ‘중환자’ 치료를 받은 110명을 분석한 결과다. 급성 감염병의 경우, 발병 이후 단기간에 사망까지 이르기도 해 흔히 28일 동안 발생한 환자 중 사망자의 비율을 사망률 지표로 이용한다.
이에 따르면 7개 병원의 28일간 사망률 평균은 42%였다. 중증 이상의 환자 10명 중 4명이 사망했다는 얘기다. 가장 높았던 A병원의 사망률은 66%, 가장 낮았던 B병원의 사망률은 30%였다.
두 병원의 눈에 띄는 차이는 우선 중증 환자 치료 장비인 인공심폐기(에크모ㆍECMO) 운용 여부다. A병원은 운용이 없었던 반면, B병원은 에크모를 2대 보유하고 운용했다. 물론 다른 요인도 적지 않았다. 자료를 공개한 신경철 영남대의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위중도의 차이가 컸을 것”이라면서도 “중환자 치료 수준에 편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중환자 의학을 전공한 의료진이 부족했던 데다 △전임의 또는 전공의 등 진료를 받쳐줄 인력도 미흡했으며 △특히 중환자실을 경험한 간호사 부족 문제가 심각했다고 분석했다.
대구에서는 한번 중환자실에 입원하면 재원 기간이 굉장히 길어서 이후에 발생한 중환자의 치료가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고령이면서 신종 코로나 증상과 (폐를 촬영한) 영상의학적 소견이 심하고 동반질환 많은 경우,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국내 의료계에 신종 코로나 치료 가이드라인(권고안)을 개발해 보급하는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도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중앙임상위는 21일 체질량지수가 30이 넘는 고도 비만 환자, 당뇨와 만성 신질환, 치매 등을 앓는 기저질환자, 65세 이상의 고령자 등이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중증환자로 악화할 가능성이 10% 이상의 고위험군이라고 밝혔다. 전국 의료기관 55곳에서 중앙임상위에 제공한 환자 3,060명 가운데 성인이면서 4주간 임상경과가 확인된 1,30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다만 증상이 발생하고 7일 이내의 50세 미만 성인 환자를 분석한 결과, 확진 당시 호흡곤란이나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없으며 의식이 명료한 환자는 산소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중등이나 중증으로 병세가 악화하는 경우는 556명 중 10명(1.8%)에 불과했다. 또 이러한 환자 가운데 의료진이 진단한 경우 중증으로 악화하는 경우는 778명 가운데 1명(0.12%)이었다. 신 교수는 “환자 중증도 분류를 통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대상에 치료를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