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野 "선관위서 사전투표 서버 찍은 부대는 사이버작전사령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계엄군이 선관위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이 담긴 CCTV를 6일 공개했다. 국회 행안위 제공
더불어민주당에서 계엄령 선포 당시 사이버작전사령부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이들이 선관위 청사 밖에서 대기하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발표 직후 서버실로 향했다는 점에서, 계엄 계획을 사전에 인지해 적극 모의했을 것으로도 의심되고 있다. 다만, 사이버사령부에서는 "관련 지시를 받거나 활동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국가정보원 1차장 출신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중앙선관위에 난입해 서버를 촬영하는 등 내란행위를 수행한 군 조직이 사이버작전사령부일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는 계엄군이 윤 대통령의 계엄 발표 이후 9분 만에 선관위 서버실을 침입해 사전투표 관련 서버를 촬영했다는 폐쇄회로(CC)TV를 공개했지만, 작전을 수행한 부대는 특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박 의원이 투입됐다 주장하는 사이버사령부는 과천에 소재한 국방부 직할부대로, 해킹이나 네트워크, 컴퓨터 등 사이버전을 수행하는 부대다.
박 의원은 제보를 통해 개입 정황을 확인했고, 사이버사령부가 계엄 당시 방첩사령부와 밀접하게 소통하며 작전에 가담했을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사이버사령부는 이번 친위쿠데타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국군방첩사령부와 같은 영내에 있으며, 심지어 일부 건물을 공유하고 있는 사실상 방첩사의 전산실 같은 조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버 자료 입수 및 분석은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작업으로, 방첩사가 같은 영내에 있는 사이버사령부의 협조를 구했을 것"이라며 "이번 쿠데타 수사 대상에 사이버작전사령관을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사이버사령부에서는 의혹을 부인했다. 사이버사령부 측은 "선관위 서버 촬영과 관련해서 어떠한 지시도 받지 않았고, 당시 활동한 사실도 없다"고 주장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