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 대신 시든 꽃만 잔뜩... 일상이 된 ‘봄 냉해’

입력
2023.05.13 17:00
16면
구독

봄철 꽃을 평년 대비 십 수일이나 빨리 개화하게 한 더위에 이어 돌풍을 동반한 추위가 덮쳤던 올해 봄, 어김없이 냉해가 전국을 덮쳤다. 원래 봄철 냉해는 한반도에서 드문 현상이지만 2018년 이후부터 빈도와 피해 규모 모두 급격히 늘었다. 10일 경기 안성시 소재 과수원 배나무에 열매를 맺지 못한 꽃(왼쪽)과 정상적으로 수분된 열매 위에서 말라가는 꽃(오른쪽)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봄철 꽃을 평년 대비 십 수일이나 빨리 개화하게 한 더위에 이어 돌풍을 동반한 추위가 덮쳤던 올해 봄, 어김없이 냉해가 전국을 덮쳤다. 원래 봄철 냉해는 한반도에서 드문 현상이지만 2018년 이후부터 빈도와 피해 규모 모두 급격히 늘었다. 10일 경기 안성시 소재 과수원 배나무에 열매를 맺지 못한 꽃(왼쪽)과 정상적으로 수분된 열매 위에서 말라가는 꽃(오른쪽)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과수원에서 열매를 맺지 못한 꽃 네 송이가 검게 시들어 있다. 두 송이의 꽃은 수분됐으나 열매가 똑바로 열리 못한 '기형과'가 됐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과수원에서 열매를 맺지 못한 꽃 네 송이가 검게 시들어 있다. 두 송이의 꽃은 수분됐으나 열매가 똑바로 열리 못한 '기형과'가 됐다.


본래 이처럼 열매송이 하나에 과실 여럿이 열려 농민들은 이중 상품 가치가 높은 것들만 남겨 영양분을 몰아주는 솎아내기를 한다.

본래 이처럼 열매송이 하나에 과실 여럿이 열려 농민들은 이중 상품 가치가 높은 것들만 남겨 영양분을 몰아주는 솎아내기를 한다.

작고 풋풋한 열매가 방울방울 맺혀 있어야 할 가지엔 말라비틀어진 꽃잎과 꽃받침 등 '봄꽃'의 흔적들만 축축 늘어져 있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한 배나무 농장. 이날 배나무 한 그루에서 나온 시든 꽃을 세어 보니 298송이였는데, 열매는 100송이가 채 되지 않았다. 충분한 영양분 확보를 위해 열매를 솎아내는 적과(摘果) 작업 전이었지만 맺힌 열매 숫자가 이미 예년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솎아내고 말 게 없었다. 며칠 사이 기후가 여름과 겨울을 오간 탓에 꽃의 태반이 수분되기 전에 대부분 얼어 죽었기 때문이다.

안성은 전남 나주에 이어 전국 2위의 배 생산지다. 도로 이름조차 ‘배꽃길’인 이곳에서 주민 대부분이 배 농사를 짓는 건 자연스럽다. 그런데 길을 따라 늘어선 과수원 중 냉해 피해를 보지 않은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올해 냉해는 모든 과수 농가의 고민거리다. 평년 대비 10도 이상 높은 초여름 기온으로 시작했지만 4월 초 갑자기 영하권으로 곤두박질치면서 꽃들이 버티지 못한 것이다.

인근 경기 이천 관측소 기록에 따르면 지난 4월 3일 이 지역 최고기온은 25.6도였지만 사흘 후에는 11.3도로 급락했다. 최저기온 역시 4일 9.6도에서 9일 영하 0.5도까지 떨어지는 등 늦봄과 겨울을 순식간에 오가면서 냉해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8일 기준 농림축산식품부에 접수된 냉해 피해 면적만 1만 헥타르(ha)에 육박한다. 안성에서 농원을 일군 지 50년이 된 이충희(78)씨는 “이틀간 아내와 새벽 4시부터 깡통(서리를 방지하기 위해 농원에서 쓰는 작은 고체 연료)을 피웠는데도 이쪽은 열매가 15%밖에 안 맺혔다”며 한탄했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에서 어린 배 한 알이 잎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있다. 본래 열매송이 당 과실 8개 정도가 열린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에서 어린 배 한 알이 잎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있다. 본래 열매송이 당 과실 8개 정도가 열린다.


10일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배나무 가지가 열매 한 알 없이 휑하다.

10일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배나무 가지가 열매 한 알 없이 휑하다.

이씨와 같은 수십 년 차 베테랑 농민도 냉해에 속절없이 당하긴 마찬가지다. 봄철 냉해는 과거에는 매우 드물었던 ‘최신’ 재해였기 때문이다. 한반도 기후 특성상 농민들에겐 평년 대비 강한 한파가 내린 겨울의 동해(凍害)나 태풍 피해가 심한 여름의 냉해가 주된 걱정거리였다. 꽃샘추위로 인한 봄철 냉해가 없진 않았지만 피해 규모나 발생 빈도 모두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며 봄철 냉해가 점점 기승을 부리더니 2018년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당한 후로는 거의 매해 반복되고 있다.

정부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발간한 ‘2011년 이상기후 보고서’에서 “과거에 없던 대규모 냉해 피해”를 언급하며 이후 매년 통계를 내고 있는데 최근 6년 동안 대대적인 냉해 피해가 접수되지 않은 해는 지난해가 유일하다. 10년에 한 번 정도, 국지적으로 발생했던 이변이 어느덧 매해 전국을 덮치는 습관성 재해가 된 것이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이 푸른 잎을 틔운 배나무로 가득하다. 얼핏 보기에는 풍요로워 보이는 과수원이지만 무성한 이파리 사이에는 과실 대신 시든 꽃이 가득하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이 푸른 잎을 틔운 배나무로 가득하다. 얼핏 보기에는 풍요로워 보이는 과수원이지만 무성한 이파리 사이에는 과실 대신 시든 꽃이 가득하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이 푸른 잎을 틔운 배나무로 가득하다. 얼핏 보기에는 풍요로워 보이는 과수원이지만 무성한 이파리 사이에는 과실 대신 시든 꽃이 가득하다.

10일 경기 안성시의 배 농원이 푸른 잎을 틔운 배나무로 가득하다. 얼핏 보기에는 풍요로워 보이는 과수원이지만 무성한 이파리 사이에는 과실 대신 시든 꽃이 가득하다.

최근 몇 년간 냉해가 반복됐지만 농촌을 벗어나면 체감 정도가 확 떨어졌고, 봄철 개화한 전체 꽃 중 90% 이상이 시들어버리지 않는 이상 평년과 비슷한 출하량을 맞출 수 있었다. 하지만 과실당 거리, 한 열매송이에서 몇 번째로 열렸는지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맛과 육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좋은 열매’를 골라 솎아야 우리가 평소에 먹는 맛있는 과일이 된다. 대대적인 냉해로 많은 꽃이 죽어버리면 선택권 없이 살아남은 열매를 키우는 수밖에 없어지므로 품질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결국 갈수록 더 비싸고 더 맛없는 과일이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는 셈이다.

최악의 경우 해당 작물을 더 이상 키우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설령 평균 기온이 비슷하더라도 올해처럼 짧은 기간 내 극단적인 변칙성을 보이는 경우 이미 다른 기후로 봐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봄철 냉해로 와인 생산량 30%가 날아간 프랑스의 사례가 우리에게도 남일이 아닐 수 있다.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나무 한 그루에서 채집한 시든 꽃만 298송이었다. 꽃이 수주 동안 시들고 떨어진 이후 시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맺힌 열매의 세 배가 넘는 양이었다.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나무 한 그루에서 채집한 시든 꽃만 298송이었다. 꽃이 수주 동안 시들고 떨어진 이후 시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맺힌 열매의 세 배가 넘는 양이었다.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나무 한 그루에서 채집한 시든 꽃만 298송이었다. 꽃이 수주 동안 시들고 떨어진 이후 시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맺힌 열매의 세 배가 넘는 양이었다.

경기 안성시 배 농원의 나무 한 그루에서 채집한 시든 꽃만 298송이었다. 꽃이 수주 동안 시들고 떨어진 이후 시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맺힌 열매의 세 배가 넘는 양이었다.


편집자주

무심코 지나치다 눈에 띈 어떤 장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연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시선을 사로잡는 이 광경, '이한호의 시사잡경'이 생각할 거리를 담은 사진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안성= 이한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