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뒤흔드는 틱톡 전쟁... ‘정보 도둑’ 위험성 얼마나 될까

입력
2023.03.24 21:00
10면

데이터 수집 범위·중국 정부 개입 여부가 쟁점
CNN "틱톡 안보 위협? 근거 없고 '의혹' 수준"
미국 정부, 미중관계 악화에 우려 없애려 퇴출

중국 동영상 공유플랫폼인 틱톡 로고와 미국 국기, 중국 국기를 합성한 이미지. 트위터 캡처

중국 동영상 공유플랫폼인 틱톡 로고와 미국 국기, 중국 국기를 합성한 이미지. 트위터 캡처

중국 동영상 공유플랫폼인 틱톡에 대해 미국이 퇴출 수순을 밟는 이유는 ‘안보 위험성’에 있다. 23일(현지시간) 하원이 추 쇼우즈 틱톡 CEO를 불러 청문회까지 열 정도로 미국은 틱톡에 바짝 날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날 청문회는 오히려 틱톡을 둘러싸고 제기된 ‘국가 안보 위협’의 실체에 대한 의문을 낳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미국에 보낸 '스파이' 맞나

이른바 ‘틱톡 전쟁’의 쟁점은 크게 두 가지다. 틱톡이 ①위치·생체 정보 등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를 다량 수집한 뒤 ②중국에 제공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기술 분야 전문가들은 일단 선을 긋고 있다. 틱톡의 사용자 추적·데이터 수집량을 살펴보면, 미국에 기반을 둔 여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과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정보기술(IT) 칼럼니스트 고프리 파울러는 “페이스북·구글이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수집하는 반면, 틱톡이 모으는 데이터는 도시나 마을 정도만 파악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미 워싱턴포스트도 “데이터 수집 범위에 대한 불안이 지나치게 부풀려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공화당 소속 버디 카터 하원의원이 “동공 확장을 유도하는 콘텐츠를 알고리즘에 포함시켜 생체 정보를 보관한다는 의혹이 사실이냐”고 묻자, 추 CEO는 “틱톡은 신체·얼굴과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다”며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는 건 필터가 쓰이는 동안뿐”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최고경영자(CEO)인 추 쇼우즈가 23일 미국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최고경영자(CEO)인 추 쇼우즈가 23일 미국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의 의심은 틱톡의 거버넌스(경영체계) 때문이다.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중국 기업으로, 중국 수도 베이징에 본사가 있다. 지난해엔 “틱톡 미국지부 직원은 데이터 접근 권한이 없어 중국 엔지니어를 경유해야 한다”는 녹취가 공개되며 미국 사용자 정보를 중국에서 조회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조성됐다. 또, 중국의 사이버보안 감시기관이 지원하는 펀드가 바이트댄스의 핵심 자회사 지분 1%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점도 논란거리다.

하지만 틱톡이 사용자 정보를 중국에 넘겼다는 증거는 없다. 틱톡은 불안감 해소를 위해 미국의 모든 사용자 정보를 미국 기업 '오라클' 소유 서버로 이전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도 "중국 정부가 바이트댄스에 법적·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해 해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의혹은 이날 청문회에서 정설처럼 언급됐다.

의혹에 불과한데... '빠른 퇴출' 추진 이유는

22일 미국 워싱턴 의사당 앞에서 틱톡 크리에이터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틱톡 퇴출' 움직임에 대한 반대의 뜻을 밝히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22일 미국 워싱턴 의사당 앞에서 틱톡 크리에이터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틱톡 퇴출' 움직임에 대한 반대의 뜻을 밝히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결국 '틱톡 스파이 의혹'은 현재로선 가설에 불과하다. 청문회에서 규명된 진상도 없었다. CNN방송은 “양당 의원들은 5시간 동안 의혹에 기댄 채 CEO를 질타했다”며 “(틱톡 위험론은) 근거 없는 정치적 히스테리”라고 꼬집었다. 미 연방수사국(FBI)이 지난 8일 “중국 정부가 틱톡을 사용해 수백만 명의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나, 거기까지다. 안보 위협 가능성은 제대로 파악되지도 않은 상태다.

그럼에도 틱톡 퇴출 분위기가 점점 뚜렷해지는 데에는 최근 미중관계 악화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CNN은 “틱톡이 ‘뭔가 했다’는 걸 포착해서가 아니라, 중국에 대한 불신과 스파이 활동에 대한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중국 정찰풍선 사태 등과도 맞물려 안보 위협론이 불거지자 일단 ‘틱톡 때리기’에 나섰다는 얘기다.

이유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