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1만명대 확진이지만… 태국은 봉쇄 완화, 베트남은 軍 충원

입력
2021.08.29 17:30

태국, 내달 1일부터 서비스업 재개?
베트남, 빈즈엉성에도 군병력 투입?
방역 목표·국민 저항 등 차이점 뚜렷

지난 26일 태국 수도 방콕의 방까삐 쇼핑몰이 코로나19 방역정책 여파로 폐쇄돼 있다. 방콕포스트 캡처

지난 26일 태국 수도 방콕의 방까삐 쇼핑몰이 코로나19 방역정책 여파로 폐쇄돼 있다. 방콕포스트 캡처

인도차이나 반도의 양강으로 불리는 태국과 베트남이 극과 극으로 대조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출구 전략을 선택했다. 두 나라 모두 매일 1만 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은 똑같지만 태국은 봉쇄 완화를, 베트남은 역강화를 각각 택한 것이다.

29일 방콕포스트와 VN익스프레스 등 양국 현지 매체의 보도를 종합하면, 태국은 전날 1만6,536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역대 최고였던 지난 13일 2만3,418명보다 줄었으나 수도 방콕 등 대도시 중심의 확산세는 여전한 상황이다. 지난 19일 1만 명대를 넘긴 베트남 역시 전날 1만2,907명이 신규 감염됐다. 지난 4월 이후 높은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 중이라는 점에서도 두 나라는 비슷한 처지다. 지역별 적용 강도 차이를 감안해도, 대다수 국민들이 다섯 달째 정상적인 사회생활과 경제활동을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태국은 누적되는 봉쇄 피로도와 경제활동 침체에 결국 백기를 들었다. 현지 방역정책을 총괄하는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는 지난 27일 "내달 1일부터 방콕 등 고위험 지역의 쇼핑몰과 이발소, 식당 등의 영업을 재개하고, 25명 이하의 집합을 허가하겠다"고 밝혔다. '서비스업자와 방문객 모두 백신 접종 확인서 등을 지참해야 한다'는 전제가 붙었으나, 더는 봉쇄 일변도로 국가를 운영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 실제로 아피사마이 스리랑손 TF 대변인은 "(확산세가 이어지지만) 이제 감염병 통제와 경제 회복이 맞물리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베트남은 오히려 통제 수준을 더 높이며 전염병과 계속 맞서기로 했다. 이미 4만여 명의 군 병력이 파견된 남부에 지난 27일 추가로 하노이 등 북부의 해군 병력을 파견한 것이다. 이들은 호찌민을 제치고 최대 감염 지역이 된 빈즈엉성에 배치된다. '베트남 코로나19 예방통제 국가운영위원회'의 수장인 팜민찐 총리는 "내달 15일까지 '새로운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시민들은 향후 2주 동안 거리두기와 제약을 계속 따라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지난 27일 베트남 하노이 등 북부에 주둔하던 해군 병력이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남부 지역으로 파견되고 있다. 하노이 타임스 캡처

지난 27일 베트남 하노이 등 북부에 주둔하던 해군 병력이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남부 지역으로 파견되고 있다. 하노이 타임스 캡처

극명히 대비되는 양국의 방역 정책은 '코로나19 사태 정상화'의 목표 시점과 방향이 상반된 탓이다. 관광산업 재활성화만이 살길인 태국은 '10월 중순 국가 개방'을 최대 목표로 잡고 있다. 이를 위해선 다소간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주요 도시의 관광 및 소매산업 인프라 선제 회복이 현재 당면해 있는 시급한 과제다.

반면 베트남은 내달 안에 전염병을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무조건 낮추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1차 목표는 물류 시스템 정상화다. 중계 무역이 경제 기반인 베트남 입장에선, 10월 초까지 자국 내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활동을 정상화해야만 최대 수익이 발생하는 '크리스마스 시즌' 물량을 맞출 수 있다.

양국 국민의 저항 수준도 방역 정책 차이를 만들었다. 태국은 군정에 대한 기존 불만이 코로나19 방역 실패 이슈로 옮겨붙어 거리 시위 등으로 표출되고 있다. 심지어 태국 국립개발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에선 국민의 64.6%가 정권의 방역 실패를 지적하고, 50.2%가 봉쇄책의 완화 또는 해제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군의 통제에 익숙한 베트남은 하루빨리 전염병이 잡히기만 바라고 있다. 봉쇄 피로도를 호소하는 목소리는 마찬가지지만, 적어도 공개적으로 정부 정책에 저항하는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

하노이= 정재호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