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소금이 많은 이유

입력
2021.06.16 19:00
25면
요르단 사해 해안가의 소금 결정들. ⓒgettyimages

요르단 사해 해안가의 소금 결정들. ⓒgettyimages

바닷물은 왜 짤까? 우리가 맛있다고 느끼는 음식의 염도는 1% 전후인데 바닷물에는 그것의 3배에 이르는 염화나트륨이 있기 때문에 짜다고 느낀다. 현재의 바닷물은 물이 96.5% 정도고 3.5% 정도가 물에 녹은 염류이고, 그것의 85.6%, 즉 3% 정도가 염화나트륨(NaCl)이다. 염화나트륨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인 황산염,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을 모두 합해도 염화나트륨의 6분의 1에 불과한 것이다.

그런데 바닷물에는 왜 염화나트륨이 그렇게 많은 것일까? 바닷물은 처음부터 이렇게 짰던 것은 아니고 오랜 시간을 두고 육지에서 미네랄이 빗물에 녹아 흘러든 영향이 크다고 한다. 하지만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강물에는 염화나트륨이 그렇게 많지 않다. 칼슘의 절반에 불과하고 이산화규소와 황산염보다 적다. 그러니 바닷물에 유입되는 양 못지않게 바다에서 증발되거나 침전돼 사라지는 양이 중요한 것이다.

바다에서 가장 많이 증발되는 것은 당연히 물이다. 물은 4,100년 정도면 바닷물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증발되는데, 다시 비가 되어 바다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일정한 것이다. 만약에 계속 증발만 일어나면 매년 바닷물의 수위는 1m 정도 낮아질 것이다.

바다에서 물이 증발할 때는 거의 순수한 물만 증발하고, 그 물이 바다로 되돌아올 때는 땅의 여러 미네랄을 녹여서 돌아오니 바다는 조금씩 더 짜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바다에 들어온 미네랄은 상당량 결정화되어 침전된다. 칼슘이나 황산염 등이 빠른 속도로 침전되어 사라지고, 염소(Cl-)는 가장 긴 시간인 1억 년 정도, 나트륨(Na+)은 6,800만 년 동안 바닷물에 그대로 남는다. 칼슘이 100만 년 정도 머무는 것에 비해 100배 가까이 오래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바닷물에는 염화나트륨이 그렇게 많은 것이다.

우리의 혈액에 존재하는 미네랄의 86%가 염화나트륨으로 바닷물의 조성과 거의 같다. 단지 농도만 3분의 1인데, 바닷물이 점점 짜지는 동안에도 일정한 농도를 유지한 것이다. 만약에 염화나트륨이 없었다면 우리 몸은 다른 미네랄을 써야 할 것인데, 그것은 훨씬 무겁고 결정화되기 쉬운 미네랄일 것이다. 그만큼 우리 몸에 부담스럽고 여러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최낙언 편한식품정보 대표ㆍ식품공학자
대체텍스트
최낙언편한식품정보 대표ㆍ식품공학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