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상속' 부담 감수하고 홍라희가 삼성전자 지분 챙긴 이유는?

입력
2021.05.02 22:50
19면
구독

2012년 7월 29일 이건희 회장 가족이 영국 런던 올림픽파크의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12 런던올림픽 남자 자유형 400m 결승을 참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2년 7월 29일 이건희 회장 가족이 영국 런던 올림픽파크의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12 런던올림픽 남자 자유형 400m 결승을 참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산 중 삼성그룹의 핵심인 '삼성전자' 지분이 부인 홍라희 여사에게 가장 많이 돌아가면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애초 홍 여사가 자식들의 '이중 상속'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분 가치가 가장 높은 삼성전자 지분은 포기할 것이란 전망이 컸다. 하지만 홍 여사가 가장 많은 상속으로 삼성전자 개인 최대주주로 올라서자, 도리어 '포스트 이건희' 시대에 그의 역할론이 주목받는 분위기다.

홍라희, 삼성전자 개인 최대주주 됐다

2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이 남긴 삼성 지분(19조 원) 중 부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에게 가장 많은 5조4,000억 원 상당이 돌아갔다. 이어 이재용 부회장(5조 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4조5,000억 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4조1,000억 원) 순으로 상속이 이뤄졌다.

삼성 일가는 삼성생명 지분만 이 부회장에게 절반을 몰아주고 나머지 계열사 주식은 홍 여사와 자녀들이 법정비율(1.5대 1대 1대 1)대로 상속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주요 지분 배분 현황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주요 지분 배분 현황

상속 지분 중 가장 규모가 큰 삼성전자(15조 원) 지분이 법정비율대로 배분되면서 홍 여사는 삼성전자의 개인 최대주주(2.3%)로 올라섰다. 애초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유족들이 삼성전자 지분을 이 부회장에게 몰아주거나, 적어도 홍 여사는 자식들의 이중 상속세 부담을 우려해 삼성전자 지분은 포기할 거란 증권가 전망을 완전히 벗어난 것이다.

그룹 핵심 전자 지분, 가족이 균등 배분한 이유는

이를 두고 재계에선 삼성 일가가 '가족 화합'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이미 이 부회장 중심의 지배구조가 만들어져 있는 터라, 이 회장 지분을 누가 물려받든 큰 변화가 없는데 굳이 법정비율을 따르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고 이건희 회장 유산

고 이건희 회장 유산

삼성의 지배구조는 이미 이재용 부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로 굳어져 있다. 특히 이번에 홍 여사가 삼성전자의 최대주주인 삼성생명 지분을 포기하고 이 부회장에게 몰아주면서, 이 부회장은 삼성생명 2대 주주로 올라섰다. 그로선 그룹 매출의 80%를 책임지는 삼성전자 장악력이 더 강화된 셈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지분 상속으로 지배구조에 변동이 생긴다면 모를까 이미 이 부회장 체제가 완성된 상황이라 유족들로서도 법정비율대로 나누는 데 부담을 느끼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지분을 이 부회장에게 몰아주면 상속세만 9조 원에 이르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혼자 감당하기 벅찬 금액이다.

아울러 삼성은 지난달 28일 상속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건희 회장이 세금과 기부를 통해 사회공헌을 실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만약 삼성전자 지분을 자녀들만 물려받았다만, 이중 상속세를 피하기 위해서라는 평가가 뒤따랐을 테고 이는 고인의 사회공헌 의지를 훼손하는 일이다. 상속세를 이중으로 내더라도 투명하게 상속 절차를 끝내는 게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경영권 반란 가능성 없어"

재계에선 앞으로 홍 여사가 보유 주식을 활용해 경영권 방어나 계열분리 등 대형 이슈마다 영향력을 행사하는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삼성전자의 개인 최대주주로서 집안 또는 외부로부터 지배구조가 위협받을 때 이 부회장의 지원군으로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은 상속 전후 21%로 동일해 가족이 새로 주주로 들어온다고 해서 크게 바뀌는 건 없고 현재로선 경영권 반란 같은 상황도 상상하기 어렵다"며 "다만 홍 여사가 경영권 안정을 지원하는 조력자 역할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