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가 죽었다, 다시 마주한 징글징글한 가족

입력
2021.02.16 04:30
수정
2021.02.16 13:12
21면
구독

강화길 ‘재실(齋室)’

편집자주

단편소설은 한국 문학의 최전선입니다. 하지만 책으로 묶여나오기 전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일보는 '이 단편소설 아시나요?(이단아)' 코너를 통해 매주 한 편씩, 흥미로운 단편소설을 소개해드립니다.

영화 '세자매'에서 둘째 딸인 미연은 가족이 모두 한 자리에 모였을 때 이렇게 외친다. "우리에게 사과하세요" 리틀빅픽처스 제공

영화 '세자매'에서 둘째 딸인 미연은 가족이 모두 한 자리에 모였을 때 이렇게 외친다. "우리에게 사과하세요" 리틀빅픽처스 제공


올 설에는 고향에 내려가지 않았다. 가족 간에도 거리두기를 지켜달라는 방역 당국의 지침을 따른다는 명목이긴 했다. 하지만 내심, 올해만큼은 명절마다 반복되던 ‘탓’과 ‘몫’을 따지는 말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도 했다. 누가 더 희생했고 누가 더 책임이 있는지 따지는 말들. 가족을 한자리에 불러모으는 게 핏줄이라는 유전적 끌림만은 아니라고, 거기엔 ‘탓’과 ‘몫’을 재확인하고픈 심사가 섞여있다고 나는 오랫동안 믿어왔다.

왜 우리 집은 이 모양 이 꼴일까, 나는 왜 좀 더 너른 마음으로 가족들의 과오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까, 자책감이 들던 때에 이 소설을 읽었다. 현대문학 2월호에 실린 강화길의 단편소설 ‘재실’ 역시 나처럼 “꼬라지가, 집안의 이 꼬라지들이 다 싫었으니까”라고 말하는 인물이 화자다.

화자인 경우는 죽은 누나 경인의 물건을 태우기 위해 어릴 적 살던 집으로 향하는 중이다. 그렇다고 둘이 생전 살가운 남매였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허구한 날 뒤지게 싸워댔던” 사이에 가깝다. 10년 넘게 말도 섞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자가 누나에게 마지막 예를 다하려 드는 데는 이유가 있다.

“열아홉 살 봄, 나는 누나를 때린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날 일은 큰이모의 말 한마디에서부터 비롯됐다. 이모는 무능력했던 외할아버지와 삼촌, 엄마를 대신해 어렸을 때부터 집안의 가장 노릇을 했고 나머지 가족들은 그런 이모에게 물질적 정서적으로 의탁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모와 엄마는 서로를 “지고 갚고 돌보고 챙기고 믿는” 사이였고 누나 역시 이모를 엄마처럼 따랐다. 그러나 아들이자 남동생인 나는 오히려 이 세 여자의 관계가 “징글징글”하다고 느낀다.

강화길 작가. 한국일보 자료사진

강화길 작가. 한국일보 자료사진

그러던 찰나 “네가 열심히 해. 그래야 엄마가 한을 풀지”라는 이모의 말은 내 안에 일렁이던 열등감을 건드린다. 나는 “어딘가를 끝없이 후려 갈기고 싶은 충동”을 결국 누나를 향해 폭발시킨다. 이후 이모는 엄마와 절연을 했고, 누나의 장례식에도 오지 않는다.

작가는 시종일관 “멍청한 남자 새끼”인 화자의 목소리로 이 가족에 대해 서술한다. 마찬가지로 제사를 치르기 위해 모인 가족의 풍경을 그린 전작 ‘음복’이 여성 화자의 눈으로 기묘한 가족의 세계를 묘사한 단편이었다면, ‘재실’은 반대로 남성 화자의 시선으로 가족 간의 애증을 그린다. 그러나 어느 쪽에서 바라보든 가족은 끝내 불가해한 존재다. 전부 알면서도, 한사코 이해하지 못하고, 그래서 사과하지 않는다.

최근 개봉한 영화 ‘세자매’ 속 세 자매는 성격도 사는 형편도 모두 다르다. 이런 이들을 하나로 옭아매는 것은 어린 시절 공통으로 겪은 폭력의 기억이다. 영화 말미, 모두가 한 자리에 모였을 때 둘째 딸은 그 폭력의 대상을 향해 이렇게 외친다. “사과하세요, 저희한테 사과하시라고요”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우리가 서로에게 저지른 실수와 자행한 폭력과 미처 다하지 못한 사과가, 한 집만의 얘기는 아닌 것이다. 그리고 그것까지 다 합쳐 가족이다. 징글징글하게도.

한소범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