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20년 뒤 직무 대체한다는데...기술 도입 기업은 고작 '3.6%'

입력
2021.01.14 17:00
수정
2021.01.14 17:33
구독

KDI,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 및 실태 조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기업 절반이 약 20년 뒤에는 인공지능(AI)이 회사의 직무와 인력 절반 정도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 AI 기술을 도입한 회사는 전체의 3.6%에 그쳤고, AI 기술을 도입하지 않은 회사 대부분도 기술 도입에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 및 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종업원 20인 이상인 기업 중 대기업ㆍ중견기업 500개사와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한 기업 중 50.1%가 AI가 직무를 대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들은 9.1년이 지나면 직무의 20%를 대체할 수 있으며, 직무 절반을 대체하는 데는 20.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AI가 기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고 전망한 기업은 48.8%다. 인력의 20%를 대체하는 데는 9.2년, 절반 이상을 대체하는 데는 20.7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AI 도입으로 가장 큰 파급효과가 있을 분야로는 △의료ㆍ건강(31.4%) △교통(19.4%) △통신ㆍ미디어(15.3%) 등이 꼽혔다.


AI 도입으로 파급효과 있을 산업, AI의 인력·직무 대체 시간. KDI 제공

AI 도입으로 파급효과 있을 산업, AI의 인력·직무 대체 시간. KDI 제공


하지만 국내 기업은 AI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조사 대상 기업 중 3.6%(36개사)만이 "AI기술이나 솔루션을 도입했다"고 응답했는데, 대기업ㆍ중견기업이 이 중 91.7%(33개사)를 차지한다. 그나마 이들 기업도 기술을 개발하기 보다는 AI 기술이 접목된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주로 사용했다.

AI를 도입하지 않은 업체 중 89%는 "앞으로도 AI를 도입할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AI기술을 도입한 회사 중에서도 추가로 AI 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38.9%에 그쳤다.

이들 기업이 AI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는 이들 수요에 맞는 기술이 부족하고(35.8%), 개발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점(20.6%)이다. 이들은 AI를 도입할 때 가장 우려되는 사항으로 AI시스템이 만든 의사결정ㆍ행동의 법적 책임 문제(23.1%), AI가 잘못된 의사 결정을 할 가능성(21.6%) 등을 꼽았다.

KDI는 AI 서비스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민간이 선뜻 나서기 어려운 영역인 만큼 정부가 우선 투자를 한 뒤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민간 데이터 개발도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중해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AI 도입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까지 포괄할 수 있는 범용 AI 기술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AI 기반 조성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 박세인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