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렐루야, 아이 엠 퀴어!"

입력
2020.11.30 04:30
24면
구독

버지니아 몰렌코트(Virginia Mollenkott, 1932.1.28~2020.9.25)

버지니아 몰렌코트는 페미니즘-퀴어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퀴어 영문학자다. 성정체성 때문에 10대 때부터 억압받았던 그는 성경을 역사적 텍스트로, 상징과 은유의 문학적 텍스트로 거듭 읽으며 보수 교회가 감추어 온 진짜 그리스도의 모습을 찾고자 했고, 그 깨우침을 책과 강연으로 세상에 알렸다. 1992년 윌리엄패트슨대 교수 시절의 몰렌코트. Graduate Theological Union, Flora Lamson Hewlett Library

버지니아 몰렌코트는 페미니즘-퀴어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퀴어 영문학자다. 성정체성 때문에 10대 때부터 억압받았던 그는 성경을 역사적 텍스트로, 상징과 은유의 문학적 텍스트로 거듭 읽으며 보수 교회가 감추어 온 진짜 그리스도의 모습을 찾고자 했고, 그 깨우침을 책과 강연으로 세상에 알렸다. 1992년 윌리엄패트슨대 교수 시절의 몰렌코트. Graduate Theological Union, Flora Lamson Hewlett Library


원죄를 품고 태어나 동성(同性)을 사랑하는 이중의 죄를 짓고, 제 안에 든 악마의 영을 저주하며 감정도 판단도 불신하고, 심지어 교사에게 두꺼운 성경책으로 얻어맞고 그만 살자고 물에 뛰어든 적도 있는 여성이, 문학에서 위안을 얻으며 공부해 교수가 되고, 성경을 다시 읽고 신에 대한 오해를 풀고 자신을 긍정하게 됐다. 그 경험과 배움을 그는 '잃어버린 신을 되찾아야 한다'는 요지의 책으로, 그것도 여러 권 "독창적이고도 설득력 있게(uniquely compelling whole)" 썼고, 보수 교단과 열성 신자들의 위협과 조롱, 저주를 측은히 여기게도 됐다. 그는 10여 권의 책과 강의·강연을 통해 자신이 찾은 진짜 예수를, 차별 없는 사랑과 다름에 대한 격려와 북돋음의 신앙을 열성적으로 '전도'했다.

"할렐루야, 아이 엠 퀴어!(Hallelujah, I'm Queer!)" 퀴어 신학의 선구적 전사 버지니아 R. 몰렌코트(Virginia Ramey Mollenkott)가 9월 25일 별세했다. 향년 88세.

몰렌코트는 '근본주의자'란 말을 자랑스럽게 여기던 보수 기독교인 부모의 딸로 1932년 1월 28일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정육점을 겸한 식료품점을 운영했고, 아버지는 지압사였다. 9살때 아버지가 가출하면서 가족은 변두리 흑인 동네로 이사해야 했고, 전학 간 학교의 유일한 백인이던 몰렌코트는 따돌림 당하고 분풀잇감이 되기도 했다. 그가 10년 연상의 여성과, "사랑을 나눈" 건지 성추행을 당한 건지 알 수 없는, 행위를 하다가 어머니에게 들킨 건 11살 때였다. 어머니는 '악마가 깃든' 딸을 더 엄격한 '남부장로교회(southern Presbyterian)' 기숙학교로 전학 시켰고, '사유'를 알게 된 교사는 그를 성경책으로 때리는 등의 공개적 '단죄'를 하곤 했다. 또래의 괴롭힘은 더 험해졌고, 죄의식은 더 무거워져갔다. 그 지독한 고립감과 기도로도 어쩔 수 없던 '사악한 천성'에 고통 받던 그는 급기야 물에 몸을 던졌다. 13세 때였다. 그는 "나란 존재가 악이어서 내 감정과 지각조차 신뢰할 수 없었다. 유일한 위안이 예수님의 십자가 죄사함이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그가 보수 기독교학교인 밥 존스(Bob Johns)대와 템플대 대학원을 스스로 택한 것도, 동성애 성향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리란 학부 교수의 조언을 좇아 동창생 남성(Fred Mollenkott)과 54년 결혼한 것도, 자기 부정과 신앙을 통한 자기 극복의 적극적 의지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는 영문학을 전공했다.

근본주의의 눈가리개를 벗다

몰렌코트가 신앙과 삶의 접점을 다시 모색할 용기를 얻은 건 뉴욕대 박사과정 무렵이었다. 엄밀히 말하면 논문 주제로 택한 17세기 청교도 사상가 겸 논객 존 밀턴(John Milton) 덕이었다. 청교도 혁명기를 살았던 밀턴은 '실낙원' 말고도 일련의 글쓰기로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고, 4편의 이혼론 산문을 통해 결혼과 이혼, 성의 문제에 대한 교회의 도그마와 의회법을 논박했다. 불행한 결혼 생활을 겪은 밀턴은 창세기와 신명기의 새로운 해석을 근거로, 결혼이 출산과 음행 방지뿐 아니라 개인의 고독을 극복하고 영적 성숙과 정신적 사랑을 이루는 데 더 큰 목적이 있다며, 부부간 영적 대화와 사랑이 불가능하다면 이혼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몰렌코트는 '밀턴을 깊이 읽으며 비로소 성경에 대한 억압적 굴레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고, 성경을 "문학적 형식과 맥락(...) 은유와 상징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한 역사적 텍스트"로 읽을 수 있게 됐다고, 비로소 '근본주의의 눈가리개'를 벗을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인간은 섬이 아니다(No Man is an Island)'라 했던 시인 존 던(John Donne)의 메시지, "직관의 문을 열어 맑은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이 그 자체로 성스러운 것을...'이라던 윌리엄 블레이크의 통찰도 비로소 수긍하게 됐다. 그는 64년 박사학위를 땄고, 가정 폭력 때문에라도 끝장내야 했던 만 19년 결혼 생활에도 73년 종지부를 찍었다. 그에겐 아들 폴(1958~)이 있었다.

그는 대학원 시절부터 모교인 밥 존스대 학부에서 강의했고, 학위를 받기 전 뉴저지의 기독교학교 셸턴칼리지 영문학과 교수로 학과장까지 맡았고(55~63), 학위를 받은 뒤 뉴욕 나야크(Nyack) 칼리지(63~67)를 거쳐, 윌리엄패터슨대에서 67~97년 재임한 뒤 명예교수가 됐다.

70년대, 80년대, 그리고 만년의 몰렌코트. 그는 자신의 성정체성을 "마음으로 남성이기도 여성이기도 한 바이젠더"이자 트랜스젠더라 했다. virginiamollenkott.com

70년대, 80년대, 그리고 만년의 몰렌코트. 그는 자신의 성정체성을 "마음으로 남성이기도 여성이기도 한 바이젠더"이자 트랜스젠더라 했다. virginiamollenkott.com


그는 70년대 중반부터 페미니즘과 퀴어 신학을 주제로 한 10여 권의 책을, 전투적으로, 한풀이하듯 출간했다(일부 공저). 40년도 더 전인 78년 그는 '동성애자도 내 이웃인가(Is the Homosexual My Neighbor: A Positive Christian Response)'를, 5년 뒤엔 신을 여성으로 상정하면 왜 안 되는가라는 메시지를 던진 '여성적 신성(The Divine Feminine: Biblical Imagery of God as Female)'을, 2001년에는 트랜스젠더 신학을 다룬 '편재하는 젠더(Omnigender: A Trans-Religious Approach)'를 출간했다. 동성애를 긍정하고, 신과 예수의 남성성을 부각하는 신학적 판단을 논박하고, 기독교 신앙과 성서 해석에 널린 성차별을 고발하고, 다양한 스펙트럼의 성정체성을 지닌 모든 인간이 예수가 말한 차별 없는 사랑의 대상이라 주장한 그의 책들은 충격적이고, 도발적이고, 무엇보다 선구적이었다. 교회의 가부장 권위를 비판한 그의 첫 페미니즘 신학서 '여성, 남성, 그리고 성경(Women, Men, and the Bible)을 쓴 건 1977년이었다.

몰렌코트는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듯 남편은 아내의 머리이니, 그가 곧 구세주'라는 성경 구절(Ephesians 5:23)을 예로 들며, 예수의 저 말을 인용한 사도시대의 상식으론 판단의 주체는 머리가 아니라 심장(Heart)이었고, 예수가 교회의 일을 결정한 적이 없으며, 머리는 근원이나 수원(水源)의 상징이었으므로, 저 구절을 가부장 권력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해석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억지라고 주장했다.

'여성적 신성' 출간 강연에서 그는 "예수가 남성이란 걸 부정하는 건 아니다. 내가 부정하는 것은 그가 생물학적 남성이란 사실이 인류 구원의 규범적 근거가 될 순 없다는 것이다.(...) 예수 자신도 남성성을 강조한 적이 없었고, '소피아'로 표상되는 여성적 지혜로, 암탉같은 존재로 스스로를 드러내기도 했고, 흔히 여성의 일로 인식되는 발 씻기기같은 일을 스스로 행하기도 했다. 그리스도를 'He'로만 지칭하고 'She'란 대명사론 쓰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그는 "성서는 해석하고 적용하는 관점에 따라 여성을 억압하는 근거가 될 수도, 힘을 북돋우고 해방시키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고, 마찬가지로 "끔찍한 전쟁도 평화적 공존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진보 복음주의 신앙의 전도자

'여성적 신성'의 주제 중 하나는 '차별 언어의 배제(Inclusive Language)'였다. "창조주 하느님은 모든 인간을 동등하게 조건없이 사랑하신다고 하면서, 일요일 교회에서 들리는 말은 온통 '맨, 형제, 아들, 아브라함의 신, 이삭, 야곱 등 남자를 가리키는 말 뿐이다. 당장 '하나님(God)'부터 'He'이고,(...) 교회 조직 자체가 성차별적이다(lopsidedly male)."(책 머리말 일부) 그는 미국 기독교교회협의회의 추천으로 국제성서개역판(NIV) 작업에도 참여해 "인간으로서의 하나님에 초점을 맞춰 남성 하나님의 색깔을 탈색하려고 노력"했으나, 보수주의 벽에 막혀 그리 역량을 발휘하진 못했다고 말했다.

60,70년대의 혁명적 기운을 받으며 교회 내 진보적 복음주의도 성장했다. 몰렌코트는 그들의 선봉으로서, 집회나 세미나 등에 참여해 열성적으로 강연했고, 74년의 복음주의 페미니스트 단체 'Evangelical and Ecumenical Women's Caucus' 등 여러 단체 설립을 주도했다.

여성 진보 종교단체인 펜실베이니아 커크리지 자매공동체의 2013년 행사 직후 참가자들과 함께 한 기념식수 사진. '퀴어의 상징색인 보라색 잎이 핀다는 퍼플너도밤나무 앞 팻말에는 "개척자적 페미니스트, LGBT 활동가, 성서를 사랑하고 커크리지 자매공동체를 일구는 데 기여한 버지니아 레이미 몰렌코트를 기리며"라 적혔다. 첫줄 맨 왼쪽이 몰렌코트, 곁에 앉은 이가 주디스 틸턴이다. virginiamollenkott.com

여성 진보 종교단체인 펜실베이니아 커크리지 자매공동체의 2013년 행사 직후 참가자들과 함께 한 기념식수 사진. '퀴어의 상징색인 보라색 잎이 핀다는 퍼플너도밤나무 앞 팻말에는 "개척자적 페미니스트, LGBT 활동가, 성서를 사랑하고 커크리지 자매공동체를 일구는 데 기여한 버지니아 레이미 몰렌코트를 기리며"라 적혔다. 첫줄 맨 왼쪽이 몰렌코트, 곁에 앉은 이가 주디스 틸턴이다. virginiamollenkott.com


보수 교단은 그를 '악마'처럼 여겼다. 학부 모교인 밥존스대 총장 밥 존스 3세는 1989년 편지에 '몰렌코트가 우리 학교 출신이고, 학생들을 가르치기까지 한 사실이 수치스럽다'며 "동성애를 옹호하는 악마"같은 "그의 파멸을 위해 기도하는 것도 부적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 그의 책 '여성적 신성'에 분노한 한 여성은 "어떻게 감히 하나님을 여성이라 하느냐! 하나님은 신성한 존재임을 모르는가?"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온 적이 있었다고 한다. 몰렌코트는 "부디 하나님(She)이 그 자신과 우리에 대해, 여성 일반에 대해 하신 말씀을 떠올려 보시라. 우리 모두가 신성한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만들어졌는데, 우리는 신성하지 않다는 말씀이냐?"라고 답장을 썼다. 교회 언어의 성차별적 표현을 문제 삼는 걸 '사소한 트집'이라며 조롱한 이들도 있었다. 그들도 신의 여성성을 말하면 예외없이 울그락불그락 달아올랐다고 한다.

몰렌코트는 목숨의 위협까지 감당해가며 행한 자신의 분투를 "목숨을 걸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말하곤 했다. 실제로 그의 책을 읽고 강연을 들으며 죄의식을 벗고 위안과 힘을 얻은 이들이 적지 않았다. 성소수자 중심 교파인 메트로폴리탄 커뮤니티교회(MCC) 신부 겸 작가로, 2005년부터 종교 자유를 위한 사이트 'jesusinlove.org'를 운영해온 키트리지 체리(Kittredge Cherry, 1957~)도 그들 중 하나였다. 그는 "몰렌코트의 78년 책을 읽고 힘을 얻어 살아남은 LGBTQ 기독교인이 얼마나 많은지 우리는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그가 "할렐루야 아이 엠 퀴어"라고 우람차게 외친 87년 강연 테이프를 지금도 찾아 듣곤 한다고 썼다. '퀴어 신학' 페이스북은 "만일 당신이 동성애에 대한 (우호적) 성경 해석을 읽어본 적이 있다면 그 뿌리는 거의 모두 몰렌코트에게 닿아 있을 것"이라며 그를 애도했다.

미국 연합감리교회(UMC) 트랜스젠더 목사 데이비드 위클리(David Weekley)와의 인터뷰에서 몰렌코트는 트랜스젠더들에 대한 폭력 등 범죄의 대처법에 대해 "건강한 자의식과 같고 다른 이들끼리의 연대 외에는 궁극적 해법이 없다"며 상상을 통해 타인의 감정에 다가설 수 있는 능력 즉 '공감적 상상력(sympathetic imagination)'이 도덕의 바탕이라고 말했다. 같고 다른 이들의 상호 존중과 믿음, 힘의 북돋움(empowering)이 페미니즘의 핵심이라 했던 것, 차별 없는 사랑과 연민이 성경과 신의 참 모습이라 했던 것이 그렇게, 윤리학- 철학- 문학이 구현하고자 했던 공감적 상상력과 포개졌다. 나는 윤리야말로 궁극의 '능력'이라고 믿는다. 그런 점에서 신은 전능하고, 전능해야 신이다. 스스로는 보편구제설을 믿는 복음주의자(evangelical universalist)라 했지만, 몰렌코트는 이미 신앙의 망토를 두른 인본주의자였다.

2018년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을 "마음으로 남성이기도 하고 여성이기도 한 바이 젠더(bi-gender)"라 했고, '편재하는 젠더'에서는 "남성적 여성, 트랜스섹슈얼은 아닌 트랜스젠더"라고도 자신을 소개했다. 그는 재무설계사인 데브라 모리슨(Debra L. Morrison)과 16년간(1980~96) 파트너로 지냈고, 97년 연인으로 만난 고교 교사 주디스 수잔나 틸턴(Judith Suzannah Tilton, 1936~2018)과 2013년 결혼해 사별할 때까지 21년 해로했다. 그는 지난 6월 낙상 사고 후 치료를 받았고, 대통령 선거 우편투표와 집에서 임종하고 싶다는 두 가지 마지막 소원까지 이룬 뒤, 아들 부부와 전 파트너 모리슨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편히 숨졌다.


최윤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