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400명 선 넘보는데 ... '읍소' 외엔 뾰족한 수가 없다

입력
2020.11.25 18:03
수정
2020.11.25 18:16
N면
구독

연천 5사단 훈련병 60명 무더기 확진?
집, 학교, 회사, 취미활동, 군대 곳곳서 감염 속출
방역 한계치에 근접...일상 멈춰야 하지만
방역당국 '국민 협조 바란다' 호소만 거듭

지금은 우리 모두를 위한 협조와 배려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국민 여러분들의 협조를 간곡하게 부탁드립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2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충북 청주의 A고등학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선별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뉴시스

2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충북 청주의 A고등학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선별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연일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면서 방역당국 공식 설명회에서 최근 부쩍 늘어난 말이다. 전국 곳곳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 등 방역을 강화해도 가족ㆍ지인 모임,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생활 속에서 연쇄적인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접촉을 줄이는 것 외 특단의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방역당국의 한발씩 늦는 방역조치를 우려하고 있다.

25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82명으로, 전날(349명)에 이어 이틀 연속 300명대를 기록했다. 지역사회 발생(363명)의 70%는 서울(139명)·경기(77명)·인천(39명) 등 수도권에 집중됐지만,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있어 전국적으로 다시 확산되는 양상이다.

특히 최근에는 일상생활 속 감염이 n차 감염을 일으키면서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감염 위험을 키우고 있다. 경기 용인시 키즈카페에서는 이용자에서 가족·지인으로, 그리고 다시 요양병원과 어린이집으로 감염이 확산되면서 이날 정오까지 확진자가 80명으로 늘었다. 서울 서초구 사우나발 집단감염도 방문자가 헬스장 종사자와 이용자, 이용자 가족 등에게 전파하면서 확진자는 71명으로 불어났다. 서울 강서구 에어로빅 학원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해 최소 48명 확진됐고, 경기 연천군 5사단 신병교육대에서는 훈련병 60명이 무더기로 확진됐다.

검사가 진행중이라 확진자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어린이집, 학교, 회사, 음식점, 여행모임, 취미활동, 군대, 병원 등 삶터 곳곳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24일에만 0~9세 어린이부터 고위험군인 80세 이상까지 전 연령층에서 두 자릿수 환자가 쏟아졌다. 손 반장은 “개인적인 모임이나 약속 등을 통해 전파되는 사례들이 상당히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런 부분까지 정부가 규제 등을 통해 공적으로 모두 통제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토로했다.

확산세가 걷잡을 수 없는 속도에 이르면서 방역이 한계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진다. 역학조사는 물론 중증환자를 위한 의료체계에도 부담이 누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기준 입원 가능한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전체 157개 중 77개에 불과하다. 지금과 같은 확산세가 2~3주 이어질 경우 병상 부족은 현실화한다. 최악의 경우 환자가 제 때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사례도 속출할 수 있다.

일상에서 접촉을 멈추는 것만이 현재로선 최선의 방법이지만, 방역당국이 택한 방식은 대국민 호소나 읍소 뿐인 실정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사회 전반에 걸쳐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많이 느슨해진 것 같아 걱정이 크다”며 “국민과 정부가 한 마음 한 뜻으로 다시 심기일전해서 방역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전문가들은 방역 고삐를 더욱 죄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은 구호로 하는 게 아니다"며 "정부가 행동으로 보여줘야 국민들도 경각심을 갖게 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가 '지금까지 버텼으니 앞으로도 잘 되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당국도 지쳐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너무 국민들의 자발적 동참에만 의지하며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