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으로 경쟁력 원천을 찾는 상생형 일자리

입력
2020.11.09 04:30
25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강원 횡성형 일자리와 경남 밀양형 일자리가 정부의 2호, 3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확정되었다. 투자와 고용창출의 실현 가능성을 꼼꼼하게 확인해 선정된 이들 사업에 대해서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급, 법인세 감면, 국공유지 및 산단 임대료 할인 등 각종 지원이 이뤄진다.

1호 광주형이 노사 상생에 기반을 두고 23년 만에 처음으로 완성차 제조공장을 국내에 유치한 사업이라면, 횡성형은 초소형 전기 완성차업체인 디피코를 중심으로 7개 기업이 자동차 생산 및 연구조합을 결성해 기술·이익·리스크를 공유하고, 연구개발·생산·판매·수익 배분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3년간 최소 503명의 고용이 이뤄지며, 상생형 일자리 사업 중 최초로 결과물(경형 화물전기차)이 생산되어 시장에 출품을 시작했고, 해외 판매 계약도 성사되었다.

밀양형은 창원의 뿌리 산업 26개 기업이 밀양 하남산업단지에 친환경 스마트 뿌리 산단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뿌리 산업은 제조업 품질 경쟁력의 근간임에도 공해유발 업종으로 인식되어 공장 증설과 구인에 애로를 겪어왔다. 이들 기업이 사업협동조합을 구성해 환경설비 의무화, 주민 우선 고용 및 주민상생 기금 조성을 통해 밀양 지역주민의 지지와 협력을 도출해 안정적으로 생산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추가 신규 고용만 5년 내 501명이 예정되어 있다.

상생형 일자리 사업 3개 모두 노사민정 협력을 통해 그렇지 않았더라면 가능하지 않았을 투자와 고용을 만들어내고 있다. 본래 제조 입지를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은 임금 경쟁력이나 배후 시장의 존재 여부 등이다. 2000년 초반부터 신규 투자와 일자리가 중국으로 건너갔고, 최근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 다국적기업의 제조 공장이 경쟁적으로 들어서고 있는 이유도 동일하다.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임금 경쟁력도, 거대 내수시장도 갖지 않은 한국의 비수도권 지역이 노사민정 간 설득과 타협으로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을 발견해 투자와 고용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창조적 혁신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광주형, 횡성형, 밀양형 이외에도 군산형, 부산형, 구미형 등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들이 상생협약 체결을 거쳐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다. 전남 신안(해상풍력)과 전북 익산(식품), 충남 논산(식품)과 전북 전주(탄소 소재)는 논의가 상당 부분 진전되어 상생 협약 체결이 기대된다. 통영(LNG), 당진(바이오), 포항(이차전지), 영주(베어링), 오송(바이오), 김천(자동차 튜닝), 원주(레저), 울산(자동차 부품), 울산 울주(산림), 대전 대덕(산단개조)에서도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이 발굴되고 있다.



김용기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