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위기 고유종 '아비에스 코리아나'를 지켜라

입력
2020.08.15 11:00
13면

편집자주

국립생물자원관 전문가들이 동ㆍ식물, 생물 자원에 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3주에 한 번씩 토요일 <한국일보> 에 연재합니다.


생물을 연구하다 보면 꼭 가보고 싶은 곳들이 있습니다. 남아메리카 동태평양에 위치한 갈라파고스 군도,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의 마다가스카르, 호주 대륙 등이 그런 곳입니다. 이 지역들은 모두 육지와 동떨어져 생물들이 독립적으로 진화한 지역이죠. 우리가 사는 지역과는 완전히 다른 생물 세계를 탐험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물학자의 호기심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지리적인 원인으로 지구상에서 오직 그 지역에서만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생물을 그 지역의 고유종 또는 특산종이라고 부릅니다.

세계 어느 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고유종은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고유종은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는 특성으로 개체군의 크기와 분포 범위가 제한적이며,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외래종과의 경쟁에서 취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유전적으로도 교란의 가능성이 커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많은 국가와 국제기구 등에서는 고유종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어느 한 지역에서의 고유종 절멸은 곧 그 종의 멸종을 의미하기 때문이죠.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67종 중 45종이 고유종입니다. 어류는 27종 중에 감돌고기, 꼬치동자개 등 18종, 식물은 80종 중 한라솜다리, 각시수련 등 16종으로 자생생물 보전 및 관리에 고유종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유종에 관한 연구는 독일의 탐험가 슐리펜바흐가 우리나라에서 채집한 50여 종의 식물을 네덜란드 식물학자 미쿠엘이 한국 고유종으로 보고하면서 시작됐습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자생식물 중 2,287 분류군을 고유종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관속식물은 457 분류군입니다. 우리나라 고유식물 중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제주고사리삼, 한라솜다리 등 61종(13.3%),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섬현삼, 섬개야광나무, 섬초롱꽃 등 34종(7.4%)으로 전체 고유종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남북한에 동시 분포하는 종은 101종, 남한에만 분포하는 종은 261종,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이 95종입니다. 대부분 산지형이며 433종이 산지에, 10종이 습지에, 14종이 해안에 분포합니다.

한 과의 식물 전체가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은 없지만 속 전체가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한국 고유속'은 6개가 있습니다. △제주고사리삼속 △모데미풀속 △금강인가목속 △덕우기름나물속 △미선나무속 △금강초롱꽃속입니다.

제주도 동부 곶자왈에서 자라는 제주고사리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제주도 동부 곶자왈에서 자라는 제주고사리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제주고사리삼속은 2001년 한국 특산속으로 발표된 고사리삼과의 양치식물로 이 속에는 제주고사리삼 한 종이 있습니다. 제주도 동부의 곶자왈이라는 특정 지역에서만 자라는 식물입니다. 라틴어 속명인 '만규아'는 초창기 분류학자로서 양치식물 연구에 심혈을 쏟았던 고 박만규 박사님을 기리는 의미로 만들었습니다. 크기는 10~12㎝로 상록성입니다. 옆으로 기는 뿌리에 1~2개의 잎이 나오고, 잎은 3개로 갈라졌다가 다시 5~6개로 갈라집니다. 포자엽은 이삭처럼 줄기 끝과 잎 끝부분에서 1~3개씩 나옵니다. 제주고사리삼의 주요 자생지는 곶자왈 지대로 주변보다 고도가 낮아 비가 오면 일정 기간 물이 고이는 곳에서 주로 분포하며, 땅속줄기를 통해 무성생식을 합니다. 제주고사리삼은 고사리 종류에서도 포자낭의 포막이 없는 원시의 식물 형태를 가지고 있어 식물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식물이기도 합니다. 제주고사리삼의 주변 지역에 골프장이 들어오면서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해 자생지가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보호하고 있습니다.

소백산에서 자라는 모데미풀.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소백산에서 자라는 모데미풀.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모데미풀속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모데미풀 한 종이 속해있습니다. 제주도, 경상도, 전라도, 경기도, 강원도에 자라고, 강원도 설악산 부근이 분포의 북방한계선입니다. 덕유산과 소백산 일대에 가장 많은 개체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라틴어 속명인 '메가에란디스'는 모데미풀의 꽃과 식물체가 너도바람꽃속 보다 크다는 의미입니다. 국명인 '모데미'는 지명이며 현재의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 소재의 '회덕마을'의 옛 이름인 '모데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크기는 20∼40㎝정도로 다년초입니다. 밑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합니다. 뿌리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끝에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뾰족한 톱니가 발달합니다. 꽃은 흰색으로 잎과 같은 형태와 크기로 5월에 피며 지름은 2㎝ 정도입니다.

금강산에서 나는 금강인가목.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금강산에서 나는 금강인가목.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금강인가목속은 장미과 떨기나무로 금강인가목 1종이 있습니다. 강원도 금강산에만 분포하기 때문에 우리가 쉽게 관찰할 수 없습니다. 라틴어 속명인 '펜탁티나'는 꽃잎이 다섯 갈래의 방사상으로 퍼지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국명은 금강산에서 나는 인가목(조팝나무)이라는 뜻입니다. 높이 70㎝의 떨기나무로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 뒤집힌 거꿀피침모양으로 6~7월에 원뿔 모양의 꽃차례에 하얗게 꽃을 피웁니다. 한때 자생지를 제외하면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식물원에서만 살아있는 식물체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2012년 에딘버러식물원으로부터 종자로 키운 식물체를 국립수목원에서 도입하게 되면서 국내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기도, 경상북도 등에서 자라는 미선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경기도, 경상북도 등에서 자라는 미선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미선나무속은 물푸레나무과의 떨기나무입니다. 미선나무 1종이 경기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충청북도 등에 자랍니다. 속명인 '아벨리오필럼'은 미선나무의 잎이 댕강나무속 식물의 잎과 비슷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국명인 '미선'은 열매가 자루가 길고 둥근 부채인 미선과 닮은 데서 지어졌습니다. 4월에 개나리와 비슷한 꽃을 피우지만 개나리꽃보다 반 정도 크기에 꽃잎이 흰색으로 깊게 갈라집니다. 꽃 색깔에 따라 분홍미선, 푸른미선, 상아미선 등으로 품종을 나누기도 합니다. 미선나무가 처음 발견된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의 군락지가 1962년 천연기념물 제14호로 지정되었으나 불법 채취로 훼손되면서 7년 만에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 후 1970년 충북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제220호)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율지리(제221호) 자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총 5개의 자생지가 보호받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미선나무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했다가 2017년 자생지가 많이 발견되면서 지정을 해제했습니다. 하지만 용정리 군락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모두가 자생지를 보전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설악산에서 자라는 금강초롱꽃.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설악산에서 자라는 금강초롱꽃.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금강초롱꽃속은 초롱꽃과에 속하며 금강초롱꽃과 검산초롱꽃 2종이 있습니다. 금강초롱꽃은 경기도, 강원도 및 함경남도에, 검산초롱꽃은 함경남도와 평안북도에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틴어 속명 '하나부사야'는 주한 초대 일본공사이자 경술국치를 주도한 인물인 하나부사를 뜻하는 것으로, 이 이름은 우리나라 식물을 연구한 일본인 학자 나카이 박사가 하나부사를 기리기 위해 붙였습니다. 북한은 이러한 불편한 이름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금강산이아라는 새로운 속명을 제시한 적이 있으나 국제식물명명규약(ICBN)에 위배되는 학명으로 폐기됐습니다. 국명은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꽃 모양이 초롱을 닮아서 금강초롱꽃으로 붙여졌습니다. 금강초롱꽃은 설악산, 오대산을 비롯한 강원도 여러 높은 산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강원도 등에서 자라는 덕우기름나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강원도 등에서 자라는 덕우기름나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덕우기름나물속은 미나리과에 속하며 덕우기름나물 1종이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석회암 지대와 퇴적암 지대에서만 분포합니다. 가장 최근인 2016년에 신속으로 러시아학자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라틴어 속명은 '신라파이톤'으로 신라의 식물이란 의미이고, 국명인 '덕우'는 강릉 덕우산에서 처음 발견된 기름나물이란 의미입니다.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잎이 3번 갈라져 끝에 3장의 잎을 가지며 꽃대가 줄기가 아닌 뿌리에서 나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덕우기름나물은 우리나라의 석회암 지역과 퇴적암 일부 지역에서만 관찰 가능한 한국 고유종이지만, 석회암 지역의 경우 지나친 석회석 채취로 백두대간에서 주 서식지인 자병산이 사라지는 등 분포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국고유속은 아니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고유종이 있는데, 바로 소나무과의 구상나무입니다. 속명인 '아비에스'는 전나무로 뾰족한 잎을 뜻하며, 종소명은 한국에서 자라는 식물을 뜻합니다. 국명은 제주 방언 '구상낭'에서 유래했으며 성게를 뜻하는 구살에서 변화한 '구상'과 나무를 뜻하는 제주 방언 '낭'의 합성어입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멸종 위험이 높은 생물을 선정해 목록화한 것을 적색목록이라 하는데, 구상나무는 전 세계적 위기종으로서 야생에서 매우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종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상나무는 자생지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의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에만 자라면서 고산 기후에 적응해 왔으나 최근 급격한 기후 온난화와 가뭄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사하는 개체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4년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되고 우리나라는 2017년 98번째 당사국이 됐습니다. 세계 각국은 생물자원(유전자원)을 이용할 경우 이용자가 제공국의 사전 승인을 받고, 이익을 공유해야 하는 나고야의정서의 내용에 따라 자국법을 강화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우리 고유종에 대한 국외반출을 관리하는 한편 기업들은 자생종, 그중에서 고유종을 산업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종은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이용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소중한 생물입니다. 우리가 가진 고유종을 보전하고 후대에 우리나라 고유의 자원으로 물려주기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보전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우리의 관심이 밑바탕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 땅에서 오랫동안 함께한 우리 식물들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이 땅에서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국립생물자원관 남기흠 연구사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