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마다 반복되는 ‘사저’ 논란

입력
2020.06.05 04:30
5면
구독
서울 연희동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저. 한국일보 자료사진
서울 연희동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저. 한국일보 자료사진

역대 대통령들은 퇴임 후 거처 때문에 거의 예외 없이 구설에 올랐다. 사저 논란이 형사 처벌로 이어지기도 했다. ‘존경 받는 전직 대통령’이 없는 현실을 반영하는 단면이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임기 말 서울 연희동 사저를 대대적으로 개ㆍ보수 하는 과정에서 입길에 올랐다. 대지 816㎡, 건물 238㎡에 별채까지 있는 사저는 당시 역대 대통령 사저 중 가장 넓어 ‘연희궁’이라고 불렸다. 검찰은 추징금 확보를 위해 전씨 사저를 압류하려 했으나, 부인 이순자씨 명의여서 무위에 그쳤다.

노태우 전 대통령 사저도 연희동에 있다. 그는 대통령 임기 말에 소규모 보수 공사를 한 뒤 입주했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 한국일보 자료사진
서울 동교동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 한국일보 자료사진

김영삼 전 대통령도 호화 사저 논란에 휘말렸다. 김 전 대통령은 “청와대를 나가면 옛 모습 그대로의 서울 상도동 집에 돌아가겠다”고 수 차례 공언했다. 그러나 임기 말에 8억원을 들여 상도동 집터에 사저를 신축했다. 외환위기 와중이었던 터라 여론이 싸늘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서울 동교동 사저를 신축했다. 당시 한나라당(미래통합당)은 ‘DJ 호화타운’이라고 명명하고 “방 8개, 욕실 7개, 거실 3개짜리 저택을 무슨 돈으로 짓는지 밝히라”고 추궁했다. 동교동 사저를 놓고 최근 김대중 전 대통령 차남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과 3남인 김홍일 더불어민주당 의원간 유산 다툼도 진행 중인 사실도 알려졌다. 양측의 주장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지난 1월 법원에 김 의원 명의로 된 사저에 대해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고, 김 의원이 이의신청을 제기한 상태로 전해졌다. 동교동 사저의 감정가액은 32억원 수준으로 평가 받고 있다.

상도동ㆍ동교동 사저는 ‘사저 정치’의 현장이었다. 두 대통령과 뜻을 함께한 정치인들은 여전히 ‘상도동계’ ‘동교동계’라 불린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김해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사저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김해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사저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사저 논란이 가장 뜨거웠던 건 노무현ㆍ이명박 전 대통령 때다. 노 전 대통령은 고향인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사저를 신축했는데, 넓은 부지가 논란이 되며 보수 진영에서 ‘아방궁’이란 비판을 받았다. 퇴임 대통령 사저가 서울이 아닌 지방에 조성된 것은 처음이었다. 때문에 경호시설 규모가 급격히 넓어진 것이 표적이 됐다.

이 전 대통령은 서울 내곡동에 아들 명의로 땅을 매입, 퇴임 이후 사저로 쓰려 했다. 그 과정에서 부동산실명제법 위반과 배임 의혹 등이 불거졌고, 특검 수사 끝에 청와대 경호처장 등이 기소됐다. 이 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전에 살았던 서울 논현동 자택을 재건축해 입주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직후인 2017년 4월 기존 서울 삼성동 사저를 팔고 서울 내곡동에 새 집을 마련했다. 그러나 곧바로 투옥되는 바람에 내곡동에 거의 거주하지 못했다.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