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신속한 이송ㆍ최적진료 체계 구축한다

입력
2020.01.17 17:00

복지부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향’ 확정

52.3%던 최종치료병원 도착률 2022년 60%로 상향 목표

응급환자가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는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응급환자가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는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체계와 최적 진료체계를 구축하는 등 응급의료체계를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중증응급환자의 적정시간 내 최종치료기관 도착률을 52.3%(2018년 기준)에서 6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포부다.

17일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환자 중심의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급의료체계 개선방향’을 수립해 이날 제1차 중앙응급의료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열어 심의ㆍ확정했다.

이번 개선방안은 지난해 2월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 사망을 계기로 환자와 지역 중심의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사회적 논의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ㆍ관 전문가로 구성된 ‘응급의료체계 개선 협의체’를 구성해 응급의료체계 전반의 개선점을 논의했다.

개선방향으로는 △현장ㆍ이송(골든타임 내 최종치료병원으로 신속 이동 △병원(응급환자 중증도별 최적 진료체계 구축) △응급의료기반(국민에게 신뢰받는 응급의료서비스 기반 마련) 등 3대 분야 총 11개 과제가 담겼다.

정부는 우선 중증외상, 심근경색, 뇌졸중 등 3대 중증응급질환을 최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병원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사전에 치료 가능 이송병원을 정해 119구급대원들이 숙지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의료기관이 응급환자를 받지 않는 사례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용곤란 고지 기준을 마련하고 총량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응급의료기관들이 병상포화, 의료자원 부족 등의 이유로 응급환자를 받지 않는 경우에 한도를 두겠다는 의미다.

외상ㆍ심뇌혈관ㆍ정신ㆍ소아응급 등 전문응급진료 대응체제도 강화한다. 기존에 구축된 권역외상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단위 외상환자 진료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지역 진료권별 심뇌혈관질환 1차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역심뇌센터를 지정하기로 했다. 정신질환자응급센터와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도 지정한다. 특히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10개소)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운용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환자 친화적 응급의료서비스도 강화하기로 했다. 응급실 내원부터 퇴실까지 응급실 이용ㆍ진료상황 등 필요한 사항을 친절히 안내ㆍ상담하는 전담 인력과 응급실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사고 등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전담 보안인력을 배치키로 했다. 또 응급실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응급실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기로 했다.

응급의료서비스의 지역별 격차 해소를 위해 인구, 이송거리, 의료이용률 등을 기준으로 70개 중진료권을 분류하고 최소 1개 이상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 어디서나 기본적인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ㆍ군ㆍ구별로 최소 1개 이상의 응급실을 지정ㆍ운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 같은 개선방향을 통해 중증응급환자가 적정시간 내 최종치료기관에 도착하는 비율을 2018년 52.3%에서 2022년 60%까지 높일 계획이다. 중증외상은 1시간 이내, 급성 심혈관질환은 2시간 이내, 허혈성 뇌졸중은 3시간 이내가 적정시간인데, 이 시간 내에 최종치료병원 도착률을 올려 중증응급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또한 증응급환자 최종치료 제공률을 65.9%(2018년)에서 70%까지 올리고, 응급의료서비스 신뢰도도 50.4%(2018년)에서 60%로 상향한다는 계획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번에 심의ㆍ의결한 개선방향을 충실히 이행해 환자중심의 지역완결형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치중 기자 cjkim@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