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문화] 말이 아닌 일을 책임진 정부 여당

입력
2019.01.29 04:40
31면

지금의 여당과 야당을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로 나누지만 공자의 언어를 빌려 표현하면 여당은 일하는 당, 야당은 말하는 당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런 구분을 전제로 올 한 해 국민 삶을 책임진 정부 여당에 꼭 들려주고 싶은 공자의 몇 가지 말들이 있다. 꼭 새겨듣고 일을 잘해서 팍팍해져 가는 국민 삶에 훈기를 불어넣어주기 바란다. 먼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가 주유천하 하며 진(陳)나라에 머물 때 이렇게 말한다.

“돌아가야겠다. 돌아가야겠다. 우리 당의 제자들은 뜻은 크나 일에는 거칠어 찬란하게 문장을 이루었지만 그것을 마름질할 줄을 모르는구나!”

지금 문재인 정권을 일부에서는 386 운동권 정권이라 부른다. 정권 초기라면 악의적 비방이라는 혐의를 받을 수도 있지만 지난 2년 가까이를 돌아보면 크게 틀린 것 같지도 않다. 국민 평균과 동떨어져 보이는 과도한 이념 지향성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공자의 이 지적 속에 들어 있는 것 같다. “뜻은 크나 일에는 거칠다”, “겉모습은 휘황한데 알맹이는 없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같은 공야장에는 일을 제대로 마름질할 줄 모르는 거친 제자 자로(子路)에 대한 공자의 가차없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공자가 에둘러 밑밥을 던진다.

“세상에 도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갈까 하는데 나를 따를 사람은 아마도 저 자로뿐일 것이다.”

자로는 이를 전해 듣고 무척 기뻐했다. 이에 공자가 말했다.

“자로는 용맹을 좋아하는 것이 나보다 지나쳐 사리를 헤아려 분별하려 하지도 않고 나를 따르려 한다.”

공자의 깊은 뜻을 모르면 이 일화는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공자가 던진 함정 질문의 핵심은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갈까 하는데”에 있다. 뗏목을 타고 얕은 강이야 건너겠지만 어찌 큰 바다를 건널 수 있는가? 이게 바로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이다. 그러면 스승이 이런 말을 했을 때 진정 스승을 생각하는 제자라면 결사적으로 말려야 한다.

“스승님 떠나시더라도 뗏목으로 가시면 절대 안 됩니다.”

하지만 필부의 용맹밖에 없는 자로는 오히려 기뻐했다. 그러니 곧바로 공자는 자로에게 면박을 준 것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자로와 같은 일들이 많이 벌어졌다. 뜻은 큰지 모르겠으나 일에는 거칠었다. 무능하다는 이야기는 아마 이와 연관돼 있을 것이다. 탁현민으로 대표되는 꾸밈의 레토릭은 현란했으나 제대로 된 알맹이는 없다는 것이 시간이 지나며 거의 드러났다. 이제 탁현민식 이벤트는 냉소의 소재로 전락해가고 있다.

최근에는 경제 분야와 관련해 대통령의 발언이 오락가락한다는 지적이 있다. 기업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것인지 여전히 ‘정의의 사도’를 자처하며 기업들을 죄인 취급하겠다는 것인지 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자로(子路)편의 공자의 말이 정곡을 찌른다.

자로가 물었다. “위(衛)나라 군주가 스승님을 기다려 정치에 참여시키려 하니 선생님께서는 정치를 하시게 될 경우 무엇을 우선시하시렵니까?”

공자가 말했다. “반드시 이름부터 바로잡겠다.”

이에 자로가 말했다. “그렇게 해서야 어떻게 정치를 바로잡으시겠습니까?”

이에 공자가 말했다. "한심하구나, 자로야! 군자는 자기가 알지 못하는 것은 비워두고서 말을 하지 않는 법이다.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리에 맞지 못하고 말이 순리에 맞지 못하면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예악이 흥하지 않고 예악이 흥하지 못하면 형벌이 알맞지 못하고 형벌이 알맞지 못하면 백성들이 손발 둘 곳이 없게 된다.”

이상 열거한 공자의 말에 공통된 단어가 하나 있다. 일(事)이다. 야당이 아니라 정부 여당에만 바라는 까닭도 그 때문이다.

이한우 논어등반학교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